반짝반짝, 솜씨 좋은 보물 - 아름답고 정교한 우리나라 금속공예 전재신의 박물관 학교 7
전재신 지음, 지현경 그림 / 씨드북(주)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보물에 대해 아이들이 잘 모르고 용어도 무척 어려워하는것같아요.

아이들도 역사책에 나오는 말들을 어려워 하더라고요.

표지에서 보이듯이 할머니가 손녀에게 보물을 알려주는 책이에요.

할머니ㄲㅔ서 송이의 집에 오시면서 시작이 되요.

송이가 할머니께 자신의 보물들을 보여주면서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시작이 되요.송이가 아빠에게 생일선물로 받은 핀을 할머니께 보여주니

할머니께서

옛날에도 머리를 꾸미는 장신구인 비녀에 대해 설명해 주네요.

비녀란???

"땋아서 감아올린 머리를 고정시킬 때 사용했어.

그중 왕비가 쓰던 비녀가 참 멋지단다.

번쩍번쩍 금색으로 날개를 활짝 핀 봉황이 앉아 있지.

봉황의 날개와 꼬리, 발 주변의 꽃판에는

하얀 진주와 빨간색, 파란색 보석이 달려 있단다."

할머니의 이야기를 듣고 송이가 비녀의 그림을 그려보네요.

저도 주말에 정앤현과 함께 비녀를 한번 그려보아야겠어요.

송이와 할머니께서 차를 마시면서 컵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어요.

송이는 귀여운 토끼 컵을 아끼는 아이에요.

할머니께서는 금을 입힌 꽃 모양 은잔을 좋아하시네요.

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찰흙으로 할머니와 함께 잔을 만들기도 하네요.송이가 이번에는 보물상자에서 가위를 꺼내며 할머니께 보여드려요.

생일 선물로 받은 보물 가위예요.

할머니께서도 특별한 가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경주 월지라는 연못에서 발견된 금동가위에 대해 할머니께서 이야기 해주세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없고,

구름 모양의 동판이 서로 엇갈려 있지.

윗부분에는 작은 모양의 날이 있단다."

금동가위는 종이를 자르기보다 초의 심지를 자르는 가위였다고 해요.

할머니와 함께 두꺼운 종이로 고리가 없는 가위도 만들었어요.

이번에는 보물상자에서 무엇이 나올까요?

그 다음 보물상자에서 나오는걸 맞추어 보는 재미도 있더라고요.

예쁜반지가 나왔네요.

박물관에서 보았던 보물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시네요.

아이들도 박물관에서 보물들을 본 적이 있어서 관심을 가지던 부분이였어요.

종이로 할머니와 함께 예쁜 보물도 만들어 보고 송이가 정말 즐거워 보이네요.

이번 보물상자에는 토끼 슬리퍼가 나왔네요.

엄마와 송이가 함께 똑같은 슬리퍼를 맞추었다고 하네요.

할머니께서 금동신발이라는 보물에 대해 설명해주시네요.

금동신발은 죽어서 저세상으로 떠난 사람을 위해 만든 신발로

죽은 사람의 무덤에 넣는 신발이라고 해요.

"금동신발의 바닥에는 다양한 그림이 새겨져 있단다.

그중 육각형 무늬 안에는 뿔 달린 도깨비,

사람 얼굴을 한 새 같은 상상의 동물들이 많이 그려져 있지."

송이가 종이에 할머니와 함께 종이 신발을 만들어서 즐겁게 걸어다니네요.

할머니가 보물에 대해 설명해주시고 함께 만들면서 송이와 너무 즐거운 시간을 보냈네요.

책을 읽으면서 정앤현과 함께 역할을 나누어서 읽어도 너무 재미있더라고요.

다 읽고 나면 아름답고 정교한 보물 금속공예 이야기에 대해 나와있어요.

사진을 보면서 함께 하나하나 읽어보고 집에 혹시 다른 보물에 관한

책이 있는지 찾아도 보았어요.전재신의 박물관 학교 시리즈는 7권의 책이 있어요.

시리즈마다 아이들과 함께 읽으면 너무 재미있을것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