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짝꿍 바꿔 주세요! 책이 좋아 1단계 1
노경실 지음, 이형진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짝꿍 바꿔 주세요^^

새학년이 되면서 주인공 경지는 1학년때와 전혀 다른 짝지를 만나게 됩니다.

너무나 착하고 친했던 1학년때 짝지 효돌이와는 다른

목소리가 커면서 더러운 손으로 자주 코를 후비는 지저분한 짝지 준수를 만나게 됩니다.

경지는 그런 준수가 너무 싫어서 짝지를 바꾸기로 결심을 하는데

친구들과 선생님은 쉽게 바꿔 주지 않습니다.

 

준수는 자기 소개를 하면서 "절대 헤어지지 않는 약"을 개발하겠다고 합니다.

거기에 경지는 절대 준수가 만든 약은 먹지 않을거라고 다짐을 합니다.

하지만 경지는 준수가 너무 싫은 나머지 꿈속에서 준수가 억지로 먹이는 약을 먹게 되는 꿈을 꾼답니다.

 

놀이터에서까지 경지는 준수의 놀림을 받는답니다.

그런 준수가 너무 싫은 경지는 어느날 준수의 어머니가 집으로 찾아와서 준수 이야기를 하는 것을 듣는답니다.

준수의 어머니가 재혼을 하면서 새아빠를 얻게 되었는데 마음의 안정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것을 말입니다.

경지는 그 말을 듣고 준수가 왜 그렇게 행동을 하는지 이해를 하게 되었답니다.

경지는 준수가 만들려고  하는 "절대 헤어지지 않는 약"을 같이 만들어 노벨평화상까지 받는 꿈도 꾸게 되었답니다.

 

경지는 짝지 준수를 이해하게 되면서 학교에 가는 것이 즐거워 지고 2학년도 즐겁게 보낼수 있겠다고 하였습니다.

  

 ------------------------------------------------------------------------

 

어른이든 아이들이든 상대방의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기보다는

왜 그러는지를 먼저 들어본다면 상대방을 좀 더 이해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제 한달 가량만 있으면 새학년이 되면서 새 짝꿍을 맞이 할텐데 혹여나

짝지때문에 속상해 하는 학생들이 있다면 이 책을 살짝 읽게끔 권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

 

짝꿍 바꿔 주세요^^을 읽고  저의 이야기를 적어 보려고 합니다.

누구나 경험을 한 번씩 해 본 일일것입니다.

이 책을 읽고 저도 초등학교 3학년때가 떠 오릅니다.

제 짝지는 경지의 1학년때 짝지인 효돌이와 비슷한데

너무 착해서 여자아이들에게 인기도 있었고 남자애들보다는 여자애들과 잘 어울려 놀았고 집에 갈때면 같은 방향으로 가는 애들끼리 가위바위보 하며 가방 들어주기 게임을 할 때면 제가 뽑히면 짝지라고 가방을 같이 들어 주곤했답니다.

그 이후 짝지랑 큰 사건이 벌어지게 되는데 그건~~~ㅎㅎ

짝지랑 집에 가면서 짝지가 계속 저의 가방을 들어 준다고 해서 가방을 맡겼죠.

그런데 이 짝지가 장난치면서 가면서 숨으면 제가 찾고 또 숨으면 제가 또 찾고 ~~그러기를 계속 반복하면서 집으로 가는데 몇번 찾다가 그냥 저도 장난친다고 숨은 짝지를 찾지 않고 먼저 가버렸죠.

집에 도착할때가 되었는데 짝지가 오지 않는겁니다.

에라 모르겠다 집을 아니까 갖다 주겠지 했는데 밤이 늦어도 가방을 안 갖다 주는겁니다.

그 날 밤 전 짝지를 찾아서 나섰는데 짝지 집을 모르는겁니다.

엄마한테 엄청 혼나고 숙제도 못하고 그 다음말 학교에 갔는데 짝지는 제 가방을 저희 집 앞에 뒀다는겁니다.

엥??? ㅠㅠ

학교에서 펑펑 울면서 1교시 수업이 시작하려고 하는데 어떤 언니가 제 가방을 저희 교실로 가지고 오는겁니다.

그 언니 집 앞에 가방이 있었는데 열어보니 3학년 1반 이라고 되어 있었어 가지고 왔다구요.

그 이후로 짝지와 전 조금 서먹서먹했지만 원래 대로 돌아왔고  가방 들어주는 일은 더 이상 없었습니다.

 

제가 4학년 올라오면서 다른 곳으로 전학을 가게 되면서 그 짝지랑 헤어지게 되는데 지금까지 이름이 생생하게 기억이 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엌의 여왕 -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공간
최일옥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부엌의 여왕이라는 제목이 와 닿는다.
그리고 어떤 내용인지 무척 궁금하다.
부엌일을 좋아하는 분도 있구나..
스스로 부엌의 여왕이라고 하는 분도 있구나...
현대에 들어서 여자이든 남자이든 최고의 자리는 사회에서 인정 받는 자리에서이고 그때야 성공했다고들 한다.
집안의 부엌일보다는 바깥의 사회적인 업적으로 많이 평가를 받고 있는게 현실이다.
그리고 집에서 주부라면 누구나 부엌일을 하는 것이고 10에 9은 부엌일이 즐거워서 하는 분들은 없다고 본다.
어떻게 하면 부엌일을 조금 덜 할 수 있을까??
요리야 어쩔수 없다고 하지만 기회만 되면 오늘 저녁 설겆이는 다른 식구들이 해 주기를 바란다,
그리고 얼른 부엌을 벗어나서 편안하게 앉아 재밌는 연속극을 보려고 하고 말이다.
 

저자는 이러한 무수한 것을 겪으면서 그것이 당연 한 줄 알고 지내다가 뒤 늦게서야 부엌으로 돌아와서야 먹거리의 소중함, 가족의 소중함, 부엌의 소중함을 발견하고서는 아직도 먹거리와 부엌의 소중함을 깨달지 못하고 있는 많은 주부들에게 조금이나마 귀뜸을 해 주려고 책을 쓰신 것 같다.

식당에서 남은 반찬을 그 다음날도 사용하는 것과 멜라닌 파동으로 아이들에게 간식거리었던 과자들을 못 먹게 된 상황들과 정성껏 음식을 만들어서 팔아야 하는 식당에서 완제품을 사서 직접 끓인것 처럼 내어 놓는 상황에서 우리 먹거리는 정말 많은 위험에 처해 있다.

그리고 요즘은 맞벌이 부부가 늘어남에 따라 집에서 만든 음식보다는 인스턴트나 쉽게 외식을 택해서 먹거리를 해결하는 현실이다.

얼마전 뉴스를 봤는데 방학중에 아이들이 패스트푸드점에 몰린다는 것이다.

부모님들은 일하러 나가고 아이들은 학원에 다녀온 후 집에서 먹을거을 먹지 못하고 쉽게 패스트푸드점에서 끼니를 때운다는 내용이었다.

저자는 자원봉사하는 분들을 보면서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고 한다.

남들에게는 따뜻한 밥과 국을 해서 대접하지만 정작 자기네 아이들에겐 라면하나로 끼니를 때우게 하지는 않는지~~말이다.

 

저자는 식당에서 부엌으로 돌아가라고 외치고 있다.
 

 

저자는 정성이 최고의 반찬이라고 한다.

김치찌게가 되든 된장찌게가 되든 간에~~

언제부터인가 모르게 돌잔치나 회갑잔치 등 하게 되면 우리들은 다들 식당이나 뷔페로 초대해서 음식을 대접한다.

근래에는 집떨이조차 밖에서 식사를 하고 집에서는 간단한 다과을 나누는 식으로 치루는 경우가 많은것 같다.

그와 다르게 저자는 일주일에 몇번이나 지인들을 초대한다고 한다.

사람들을 좋아하고 요리하는 것을 즐기고 나누기를 좋아하는 저자의 성격탓이라고 하지만 참 대단한 것 같다.

스스로 여왕이라고 할 만 하다.

저자에게 박수를 쳐 주고 싶다.

 

책에는 저자의 오랜 노하우로 다듬어진 요리 레시피가 있다.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재료이나 제각기 요리법이 다른 쉬운듯 하면서도 어려운 요리이기도 하면서 누구나 좋아하는 쇠고기,돼지고기, 닭고기, 생선의 레시피가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제일 반가운 것은 샐러드드레싱의 레시피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요리를 잘 할 수 있는 노하우가 있다. 

 

여자인 것이 자랑스럽다는 저자의 글을 읽고 떠 올려본다
며칠 전 남편이 "넌 나중에 다시 태어 난다면 다시 여자로 태어날래? 아님 남자로 태어날래?"

난 그때 한참을 생각하면서 남자로 태어난다면 처자식 먹여 살릴려고 나가서 돈 벌어야하고 잘하면 본전이고 못하면 남자 노릇 못한다고 구박할 것이고 여자로 태어난다면 또 밥하고 설겆이하고 애들 잘 못 되면 집안에서 애들 제대로 안 돌보고 뭐 했냐고 야단 칠것이고 남자든 여자든 뭐 딱히 좋아서 되고 싶은 것은 없다고 말을 했었다.

하지만 지금 그 질문을 받는다면
난 망설임도 없이 "여자" 라고 대답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뭐 복합적인 이유야 많지만 부엌의 여왕을 읽고 난 뒤였을까????

여자인, 아니 주부인 나의 손에 인해 맛있는 것을 먹고 맛있는 음식을 함께 하므로써 행복을 느끼고 내일의 활력소를 줄 수 있을 것 같아서이다.  당장 100% 만족하는 요리를 만들 수 없지만 나도 노력한다면 "부엌의 여왕" 저자처럼 언젠가는 우리집의 최고의 요리사는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