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미터O
이준영 지음 / 황금가지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입부부터 혼을 쏙 빼어 놔 정신을 못차리게 만드는 소설이 있고, 도입과는 전혀 다른 양상의 전개를 보여 경악을 금치 못하게 하는 소설이 있다. 그리고 두 경우 모두 흔히들 말하는 잘나가는 소설의 기본 공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파라미터O는 어딘가 오싹한 기분을 자아낸다.


분명 속도감 있게 잘 달리고 있는 열차에 오른 것 같은데, 왜인지 그 열차는 브레이크가 고장난 것만 같고


길을 잃은 고속도로에서 맘씨 좋아 보이는 할머니에게 히치하이크를 성공해 올라탔지만 왜인지 그 할머니에게서 살인자의 향기가 나는 것만 같은 그런.





파라미터O의 세계관은 종말 이후의 모습이다.


인간은 생식 기능을 잃었고, 건강한 인간의 유전자는 씨앗 탱크에 보관되어 다시 도래할 그 날을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 더는 두 눈, 두 귀, 두 손, 두 발이 멀쩡한 인간이 태어나지 않았고 온전한 한 사람의 인간이란 너무나 먼 과거의 일만 같다.


태양 전지판을 돌려 얻어낸 전기로 쾌감기란 기계를 가동하고 그 속에 갇혀 자신이 원하는 환상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


보호복이 없이는 밖으로 나설 수도 없는 작은 벙커안에서 사람들은 살아가고 있다.


그 작은 사회를 지키고 있는, 대체 불가능한 인력 조슈.

조슈는 우연한 기회에 새로운 기계종 이브를 발견한다.


더없이 사람같지만, 사람의 모습은 아닌 이브.

주인공 조슈를 창조주라 부르는 이브는 창조주답게 자신에게 새로운 목적을 부여해 줄 것을 요구한다.


이브의 삶의 목적이 될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창, 파라미터O


이 소설은 그로부터 시작하고, 다시 그곳에서 끝을 낸다.


작가의 말처럼 이 소설은 쉽게 쓰여진 소설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또 마냥 어려운 소설도 아니다.


하지만 이런 설명들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오싹한 그 기운을 직접 느끼는 것이 훨씬 정확하지.


주저하고 있다면 주저없이 구매해도 좋을 것이다.

젠체하며 가르치려 드는 딱딱하고 어려운 SF 소설들과는 차원이 다른 소설을 보게 될테니까.




소녀는 창조주에게 묻고 싶었다. 자신이 태어난 이유가 대체 무엇이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