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반 마틴 루터 킹 우리 반 시리즈 25
김은영 지음, 쏘우주 그림 / 리틀씨앤톡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보아하니 마틴루터킹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았는데 일반적인 전기와 같은 스토리일 줄 알았다. 그래서 큰 기대가 없었다. 하지만 현 시대에 맞춰 어린이 시점에서의 마틴루터킹을 소개하고 있는 스토리 전개에 감탄을 하면서 읽게 되었다.
글쓴이는 의미있는 울림과 파장을 만들기 위해 오늘도 끙끙대며 어린이들과 소통할 거리를 찾는다고 소개하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기본적인 위인전의 내용을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게 이해가능할 수 있게, 현실감있게 적용하려고 노력했을지, 정말 많은 연구를 하셨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틴루터킹은 연설 후 자신의 호텔 앞에서 암살을 당한다. 그리고 저승사자같은 카론에게 이끌려 요단강을 건너야하는데 이대로는 죽을 수 없다며 자신의 연설을 무기삼아 카론을 설득한다. 설득당한 카론은 100일동안 미국으로 돌려보내주겠다고 했지만 뭔가의 오작동으로 21세기 대한민국에 도착하고 12살 강마루의 몸을 빌려 생활해야한다..는 스토리로 시작한다.
강마루로 변한 마틴루터킹은 한국에서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맘놓고 뛰어놀지도 못하고 잼민이, 요린이, 주린이 등의 신조어와 함께 어른들에게 무시당하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된다. 그리고 강마루의 가족들과 회식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어 식당에 갔지만 ”노키즈 존“이라고 어린이들은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었다. 이런 불공평한 사회에 대한 불만이 생겨 “노어른존”을 만들어 어른에게도 불합리한 사회를 겪어보라고 했는데 더 무시를 당했고, 친구는 말콤 엑스와 같이 폭력적이고 차별적인 생각으로 어른들을 대적하려 했다.
마틴루터킹은 친구들과 함께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어른들과 함께 지낼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노키즈존”을 “모두 함께 존” 으로 바꾸고 함께 희망과 사랑으로 함께 사는 사회를 만들어가는데 영향을 끼친다.
“모두 함께 존” 이라는 말 자체가 신선하게 들릴 정도로 우리는 화합하려는 마음이 덜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평소에도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노키즈존“ 이라는 단어 자체가 매우 불쾌하고 껄끄럽게 느껴지곤 했다. 가끔 몰상식한 부모들의 태도 때문에 식당에서 아이들 때문에 불편을 겪기도 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아이들의 통행을 통제하는 것은 정말 불공평하고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상황인 것이다. 하지만 강마루의 친구들과 식당 사장이 제시한 방법대로 한다면 모두 함께하는 평화로운 세상이 될 것 같았다.
스토리도 탄탄하고 위인의 시대상황을 현 시대에 맞춰 아이들이 현실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접목했다는 발상이 너무 좋았다. 정말 이런 스토리를 만들어내려고 많은 생각이 거듭되었을 것 같았다.
아이들이 위인전을 그 시대의 역사속의 인물로만 아는 것이 아니라 내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위인처럼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제시해 준 것 같아 많은 아이들이 읽었으면 하는 바램이 생겼다.
?“출판사로부터 이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우리반마틴루터킹 #마틴루터킹 #김은영 #리틀씨앤톡 #노키즈존 #잼민이 #인권 #책세상맘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