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래된 디자인 - 디자이너, 삶의 디자인을 읽다
박현택 지음 / 컬처그라퍼 / 201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 달 ‘가장 마음에 드는
안그라픽스 책’이라는 주제로 모인 북클럽 자리에서
두명이나 이 책을 추천하면서 꼭
읽어봐야지 라고 생각하던 찰나에 만난 ‘오래된 디자인’
도입부에 도올 김용옥 선생의 긴 글을
정독하다가
이 책이 진정 많은 사람들이 추천을
한 책이 맞는가 라는 생각을 하게끔 했지만
도올 이라는 높은 산을 넘고 나니
(실은 건너뛰었으나)
출퇴근 시간을 이용해서 조금씩
읽어나가는 재미가 쏠쏠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저자가 유물에 대해 요목조목 설명하고
그 물건이나 그림을 통해서 유추하는
또 다른 이미지들이 신선하다.
백제시대 요강으로 시작하여 뒤샹의
샘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나
구석기시대의 주먹도끼에서 시작하여
물방울 다이아몬드로 이어지는 전개는
후반부로 갈수록 이 이야기를 시작으로
어떤 이미지를 떠올렸을지 궁금한 마음에 책장을 넘기기도 했다.
어렵고 지루하게만 생각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미의식이나
역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있어서
가볍게 읽을수 있는 책일듯하다.
끝에는 나에게 다시 질문하게
되기도했다.
한국적인 것은 무엇인지
흉내내기식이 아닌 전통미를 가진다는
것은 무엇인지
'현대사회는 거의 모둔 부분에서
과잉이 일어나고있다.
그러나 캘리그래피든, 타이포그래피든,
디자인이든
그 생명력과 지속 가능성은 과잉이
제거된 평범하고 꾸밈없고,
삶의 가치를 고양시키기 위한 순수함과
치열함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