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일의 디자인 - 미의식이 만드는 미래
하라 켄야 지음, 이규원 옮김 / 안그라픽스 / 2014년 3월
평점 :
읽어본 모두가 그렇겠지만 하라켄야의 ‘디자인의 디자인’을 너무도
재미있게 읽었던 터라
나는 설레는 마음으로 ‘내일의 디자인’을 펼쳤다.
책을 다 읽고 나서야 원서의 제목이 ‘일본의 디자인’ 이라는 걸 알게
되었지만,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아주 꾸준하게 일본에 대해 이야기한다.
일본이라는 나라의 역사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문화는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그 속에서 문제점은 무엇인지 속속들이 보여주고 있다.
초반에는 너무 일본에 국한되어 이야기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이미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읽다보면 결코 그것에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님을 알게 된다.
특히 ‘무소유의 풍경’에서 비움에 대한 작가의 생각은 내게도 많은
여운을 남겼다.
“필요 이상의
것들을 버려서 일상을 간결하게 한다는 것은
곧 가구나 집기,
생활용구를 음미하기 위한 배경을 만드는 것이다.
꼭 예술 작품이
아니라도 모든 도구에는 저마다 아름다움이 있다.
칠기든 도자기든
문제의 본질은 어떻게 매력적인 것을 만들어내는지가 아니라
그것들을 매력적으로
음미하는 생활을 어떻게 되살릴 것인가이다.
칠기가 팔리지 않는
것은 칠기의 인기가 사라진 탓이 아니다.
요즘 사람들도 훌륭한 칠기를 보면 감동한다.”
건축사무소에서 일하며 자주 한옥을 접하면서
도심형 한옥이란 무엇인지 또 현대적 한옥이란 어떤 것일까에 대한 고민을
항상 가지고 있었다.
사람들은 한옥을 불편한 집이라고만 여긴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바뀌어야 한다고만 생각했지 자체가 가진 가치를 잠시 잊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무엇이든 채우는 것 보다 비워내는 것이 더 어렵다.
조금 더 오롯한 내가 되기 위해 무엇을 비워내야 할는지.
집에 돌아가는 길에 내게 남겨진 숙제.
어쩌면 평생의 숙제일지도 모르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