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의 생각 - 우리가 원하는 대한민국의 미래 지도
안철수 지음, 제정임 엮음 / 김영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런 류의 책은 여간해서는 읽지 않는다. '뻔한 이야기'를 적어 놓는 경우가 워낙에 많아서다. 특히나 대선을 앞두고 출마자 중의 한 명이 될지도 모르는 사람의 책이라면 읽지 않아도 대충 내용이 보일 것 같았다. 그럼에도 나는 이책을 구입했다. 오래 전부터 가지고 있던 안철수라는 사람에 대한 호감이 막연한 호감인지 아니면 뚜렷한 이유가 있는 것인지 확인해볼 요량이었다. 제목은 의외로 간결하다. '안철수의 생각'이다. 사실 그게 지금은 가장 필요한 시점이고 정확한 제목이다.


판매량이 많은 까닭인지 방금 찍어낸듯한 종이향이 코를 찌를 정도다. 하얀 표지와 간단한 사진 한 장 그리고 진한 종이향이 스며든 책을 손에 들고 페이지를 넘겨본다. 책은 총3편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실제로 읽어보면 4편이다. 맺는 글인 '미래의 주인공들에게' 역시 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1장과 마지막 장은 개인적인 이야기가 많지만 2장과 3장은 사회 전반에 대한 심층적인 내용이 담겨 있다. 엮은이도 이야기했지만 안철수 교수가 이렇게 다방면에 깊은 성찰을 하고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 


2장과 3장은 마치 국정운영의 지표로 삼을 청사진과 같은 느낌이 드는데 만약 안 교수가 출마를 하게된다면 그리고 어떤 모습으로건 정치를 하게된다면 이책은 그의 나아갈 방향 그리고 그를 평가할 지표가 되기에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정치인이 아닌 사람이 자신이 정치를 하게 되면 어떻게 하겠다라는 점을 이렇게 뚜렷하게 보여준다는 점이 한편에서는 과욕은 아닌가 하는 느낌도 들지만 그만큼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분명히 알고 있다는 증거도 되는 셈이니 앞으로 그의 행보를 지켜보는 것도 꽤나 흥미있는 일이 되겠지 싶다.


대담 형식으로 쓰여 있어 읽어나가는데 큰 부담이 없고 방송에서 본 그의 말투며 표정이 책을 읽어나가는동안 그대로 재연되는듯한 느낌을 주어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 재미있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부분에서 '자기자랑'이 등장한다는 점. 그러나 나는 이것을 자랑이 아닌 자신감의 표현이라 생각한다. 실제로 이루어낸 것을 당당하게 말하는 것은 자신의 삶에 대한 자신감이다. 그리고 그 이룸을 어떻게 만들어냈다고 스스로 납득하고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인간 안철수를 놓고 볼 때 꽤나 부러운 점이었다.


세간에 알려진 것처럼 엘리트의 패배를 모르는 삶을 산 것이 아닌 점은 의외였다. 그는 모든 것을 노력으로 이뤄낸 스타일이다. 그리고 그 이룸의 기본이 된 것은 경험이었다. 생각보다 안 교수는 많은 경험을 했는데 대외적으로 알려진 성공스토리 이상의 실패와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 그리고 그 실패를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바꾸어 나가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점이 아마 안철수 교수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싶다.


그는 정확하게 자신에 대한 지지의 실체를 알고 있다. 기성 정치에 지친 그래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의 지지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모든 이들에게 자신의 입장을 일일히 설명할 수 없기에 책으로 이야기를 건넸다. 물론 책 역시 모든 이에게 접근성이 있는 것은 아니니 이후의 그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이 갈 수밖에 없다. 만약 이책이 대선을 위한 출사표라면 전 국민을 대상으로한 공약집인 셈이다. 활자로 이렇게 뚜렷하게 찍힌 내용들을 안철수라는 인간이라면 어떤 식으로 책임을 지고 구현해낼 것인가.


대선에 나오는 일이 없더라도 이책은 정치를 하려는 이들, 현재 정치를 하는 이들을 떠나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이들이라면 한 번쯤 고민해야 할 내용들을 담고 있다. 무엇보다 그저 당연하게 생각되는 상식들이 외면받고 있는 현시점에서 너무나 당연한 상식들을 다시 상기시켜 주기 때문이기도 하다. 희망을 꿈꿀 수 있는 것은 희망을 가져본 사람만이 알 수 있다 안철수는 희망을 가져본 사람이고 그 희망을 실현해낸 사람이다. 개인적인 희망을 넘어 국가적인 희망을 그는 실현해낼 수 있을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법총칙 - 민법강의Ⅰ, 제7판중판
곽윤직 지음 / 박영사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법학의 분야는 상당히 넓지만 간단하게 구분하면 공법과 사법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법은 우리가 일상 생활을 해나가는 데 있어 기본이 될 만큼 중요하다. 사법의 기본은 민법이고 민법의 기본은 역시 민법총칙이다..

곽 선생님의 민법총칙..아니 민법강의 시리즈는 아직 제대로 우리의 법학이 자리잡지 못하고 있을 때 한국 법학 연구의 기초를 닦은 책이자 법학도는 물론 각종 수험생들에게 필수적인 교과서로 인정받고 있는 책이다.

지금은 7판이 나와 한문도 거의 없고 많이 얇아졌지만 예전 곽 선생님 시리즈는 한글은 거의 없는 데다가 2000여 페이지에 달하는 전집이어서 쉽게 공부하기란 꽤나 어려웠다.

제본은 역시 박영사가 담당하고 있다. 판이 바뀌면서 폰트도 바꾸고 한문도 많이 줄어서 요즘 세대들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요즘에는 곽 선생님 민법 시리즈가 폄하되는 일이 많은 데 제대로 기본기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무턱대고 요약서를 선호하는 풍조에서 나온 말들이니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다.

민법총칙은 민법의 서론 부분이지만 법학 공부를 하는 데 있어 소위 리걸 마인드라고 하는 법학적 사고를 습득하는 단계이므로 가능하면 요약 정리서보다 잘 짜여진 교과서를 읽는 것이 이후 법학 공부를 할 때 큰 도움이 된다. 게다가 예전에 비해 엄청나게 얇아졌으니 이 정도도 읽지 않고 법률공부를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