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가족을 뭐라고 부르지? - 바르게 부르는 가족 호칭책
채인선 지음, 배현주 그림 / 미세기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니 가족관계의 호칭에 대해서 배우더군요.
뭐 평상시에 고작 아이가 오는 가족은
엄마, 아빠, 할머니, 할아버지, 외할머니, 외할아버지, 형, 이모, 삼촌, 외삼촌 뿐이였습니다.
그렇다고 친가랑 외가를 따로 부르지 않고 그냥 할머니에 외가도 다~ 들어갔죠
제가 외가쪽을 따로 부르는게 싫어서 그런 것도 있었죠.
그랬더니 아이가 친척관계에서 헷갈려 하더라구요.
또, 친가와 외가의 호칭에서도 그렇고~
고모가 없으니 고모에 대한 이해도 처음엔 떨어지고~
이모를 늘 부르고 살았는데 왜 이모인지 모르는 경우도 있고~
학교에서 시험을 보는데 에고~ 고모를 써야 하는데 이모를 떡~하니 적어서 틀리고...
그냥 이야기 해주니깐 이해가 잘 안되었나봐요~
그런데~
미세기에서 나온 ’가족의 가족을 뭐라고 부르지?’ 를 보고 모든게 해결 되었답니다. *^^*
책의 사이즈도 큼직해서 아이가 들고 보기에도 좋아요.

책의 처음은 핵가족의 기본인 4인가족 
즉, 부모와 나와 형제에 대한 설명입니다.
여기까지는 아이들이 쉽게 알기에 다음장으로~ 넘어가는게 빨라요~


우리아이들에게 없는 고모~
고모와 고모부는 나와 어떤 관계일까? 
아이들과 함께 왼쪽의 글을 읽고, 오른쪽의 표를 보면서 자세히 설명을 해주니깐 
더 쉽고, 빠르게 이해를 한답니다.


친가와 외가에 대한 가계도가 따로 따로 잘 설명이 되어 있어서 한 눈에 쏙~ 들어온답니다.
이렇게 책으로 보니깐 이해도 쉽고, 빨라요.
1학년 입학 전에 미리 본다면 더 좋겠더라구요.



* 어디어디 있나요? 
어디어디 있나요?는 책의 내용 중간 중간에 있어서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하면서
맞추다 보니깐 금방 호칭에 대해서 외울 수 있어서 좋아요.
그냥 엄마가 설명할 때는 아이가 헷갈려 하고, 이해를 잘 못했는데
이렇게 책을 펼쳐 놓고 찾기를 하니깐 빠르답니다.
혹, 아이가 모를땐 책의 뒷쪽을 찾아보면 정답도 있으니깐 살짝 보고 컷닝을 
하더라구요.ㅎㅎㅎ
갈수록 핵가족의 수가 많아지고, 아이를 한 두명 낳으니깐 이모, 고모, 삼촌 등 호칭을 부를 기회가 없어지는게
좀 안타깝기도 하네요~


뒷쪽에는 우리 가족 소개와 우리가족의 가족란이 있어서 아이들과 함께 그려도 되고
사진을 붙여도 좋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