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야는 저녁에 생선구이를 보며 침을 꼴깍 삼켰습니다. 그런데 생선구이 옆에 레몬이 있었습니다. 호야는 레몬즙이 왜 있는지 아버지에게 물었습니다. 아버지께서 레몬즙은 생선의 비린내를 없에기 위해 있다고 알려주셨습니다. 또 왜그런지도 알려주셨습니다. 레몬은 산성이고 생선의 비린내는 염기성을 가진 물질이기때문입니다. 그래서 산성과 염기성이 중화반응을 일으켜 비린내를 없앨수있는것입니다. 호야는 산성과 염기성에 대해 더 알고 싶어졌습니다. 아버지께서 그것을 알아차리고서는 산성용액에는 식초, 과일, 탄산음료, 묽은 염산등이 있다고 알려주시고 염기성 용액은 묽은 암모니아수, 묽은 수산화 나트륨,  비눗물, 락스, 등이 있다고 알려주셨습니다. 아버지께서는 덤으로 산성과 염기성을 구분하는 방법과 특징을 알려주셨습니다. 산성은 대체로 시큼하거나 새콤한 맛이나고 염기성용액은 대부분 미끌미끌합니다. 그리고 자주색 양배추나 나팔꽃처럼 보라색 색소가있는 식물은 안토시아닌이라는 색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 색소가 삼성은 붉은색 염기성은 초록색으로 변화시킨다는것을 알았습니다. 이렇게 산성과 염기서을 구별할수있는 지시약은 메틸오렌지 용액이나 BTB용액등이 있습니다. 

나는 메틸오렌지용액이 처음에는 생소하게 느껴졌으나 지금은 익숙하고 지시약으로 산성과 염기성을 잘 구별할수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래에는 컴퓨터가 지금보다 발달해서 어디서든 집안의 정보나 택배 등을 확인 할수있다. 발달의 예는 마트이다. 현재의 마트는 줄을서서 계산을 하는데 미래에는 계산대를 지나가기만 하면 물건의 값이 인식되어 저절로 계산이 되게 될것이다. 또 자동차를 타고 가는중에 도 그때의 거리에서 교통체증이나 정체를 피해가고 자동으로 운전이 되게 할것이다. 지금의 4D라고 말하는 것은 더 현실적으로 변해서 느낌과 감정을 알수있게해줄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남범교 2011-07-14 2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맞아요.
 

 은하수는  별들이 모여서 만들어진것이라고 말할수있습니다. 은하수 안에서는 수많은 별들이 생겨나고 수많은 별들이 죽습니다. 별은 작은먼지알갱이로부터 생겨났습니다. 그 작은 먼지알갱이들이 서로 부딪치면서 점점 크게 뭉쳐집니다. 그러다 폭팔을 하면 별이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별이 또 오랜 시간이 지나면 폭팔하여 사라집니다.또 별들이 아주 많이 모여있으면 성단이라고 부릅니다.성단에는 여러 종류가있습니다. 수많은 무리가 원 모양으로 있는 구상성단도 있고 드문드문 불규칙적으로 흩어져있는 산개성단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랜 세월동안 사람들은 우주에 대해 궁금해 했어요. 과학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우주에 첫발을 내딛게 됬습니다. 사람들은 인공위성도 쏘아올리고 우주 왕복선도 쏘아올렸어요. 또 우주선에 연료를 공급하거나 위성을 발사하는 일을 하는 우주 정거장도 건설되었지요.사람이 탄 우주선은 우주에서 오래머물수 없어요. 그래서 우주 정거장을 개발했지요. 최초의 우주 정거장은 예소련, 즉 지금의 러시아에서 쏘아올린 샬루트예요. 그다은 1973년에 미국에서 스카이랩을 쏘아올렸지요. 우주정거장은 에너지를 태양 전지판으로 만들어내요. 그래서 우주정거장에는 태양 전지판이 많지요. 

나는 우주정거장이 언제 처음으로 쏘아올려졌는지 궁금했는데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5,4,3,2,1 레이저쇼가 시작됬습니다. 지호와 석이는 레이저가 아름다워서 입을 모아 소리쳤습니다. "정말 아름답다." 지호와석이는 근처에 있는 파인세라믹스 연구소를 갔어요. 그곳에서는 파인세라믹스로 인공장기를 만들어 실험을 해보고 있었어요. 또 지호와 석이는 전자종이를 보러갔습니다. 전자종이는 둘둘 말리기도하고 구부릴수도 있습니다. 지금의 플라스틱보다 더 강한 플라스틱이 나왔습니다. 바로 "강화 플라스틱입니다." 강화플라스틱은 플라스틱에 탄소섬유를 넣은것으로 테니스 라켓이나 비행기의 날개, 차에 몸체등에 용됩니다. 

나는 이책을 읽고 나서 많은 신 소재를 알았고 신 소재가 어떤곳에 쓰이는지 알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