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불안하고 조급한 시간들도 개인의 성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간임을 말이다. - P249

슬프게도 우리에게는 이런 세계에 머무르는 시간이 필요하다. - P250

그래야만 우리는 나와 타인의 한계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그때에야 비로소 나에게 엄격하고 타인에게 너그러운 성숙한 어른이 될 수 있다. - P250

하지만 분명한 것은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존재는 책이 아니라, 편협한 사고를 가진 단순한 사람들이다. - P259

실제로는 부르주아가 프롤레타리아를 통해 부를 획득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오히려 프롤레타리아가 부르주아에게 종속된 듯 행동한다. - P265

월급은 내가 노동력을 재생산할 수 있는 최소한의 비용으로서 부르주아의 이익을 위해 제공된 것이다. - P265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대립, 이것이 근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가장 본질적인 구조이다. - P265

세계화는 단순히 초과공급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시장의 필요에 의해 요청된다. - P270

여기에 더해서 자본주의 국가와 기업은 노동자들의 연대를 치열하게 방해하고 서로를 이간질합니다. - P278

그런데 어는 날 문득, 삶의 방향을 급격하게 전환해야 하는 때가 온다. 나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외부의 힘이 삶의 반복을 멈춰 세우고, 나를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그런 강력한 계기가 반드시 한 번쯤은 찾아온다. - P289

삶을 받아들이는 방식으로만 당신에게 말을 건넵니다. 당신이 선택해야 해요. 받아들여 해석할 것인가, 받아들이지 않고 고통을 지속할 것인가. - P314

직접적인 저항도 필요하지만, 주어진 삶의 고통을 인내하는 용기도 필요하다는 말씀이군요. - P315

소중한 사람이라면, 지켜주고 싶은 사람이라면, 그들이 상처입지 않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그들을 당신으로부터 밀어내야 한다. - P3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