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과 국경 - 청-조선의 영토 인식과 경계 형성
김선민 지음, 최대명 옮김 / 사계절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제국과 조선이 인삼을 놓고 오랫동안 갈등을 빚어왔다는

생경한 이야기에 흥미가 돋아 순식간에 빠져들었다.

생각해보면 인삼에게 국경이 있을 리가 없으므로 조선땅이

인삼의 산지라면 그에 인접한 지역에서도 인삼이 얼마든지

날 수 있는 게 당연한데, 인삼이 아주 옛날부터 한국을 대표하는

특산품이며 한국이야말로 인삼의 종주국이라는 캐치프레이즈에

익숙해진 탓에 그동안 한반도의 북쪽 국경인 압록강과 두만강이 곧

인삼 자생지의 북방한계선인 것처럼 생각해오던 나의 어리석음도

깨달을 수 있었다.

저자에 따르면 인삼은 오랫동안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에

자생해왔으며 조선이 그랬듯이 그 일대를 강역으로 삼은

건주여진에게도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수출효자상품이었다.

때문에 자연스레 조선과 여진족(정확히는 건주여진) 사이에서는

인삼의 확보를 위한 첨예한 갈등이 계속되었는데 이 갈등의 양상은

여진과 조선의 국력 변화에 따라 달라졌으며 저자는 이 무게추의 이동을

심도있게 추적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청의 국력 성쇠에 따른 만주정책의 변천과정을

분석하고 청과 조선의 갈등 해소 방식을 통해 조공관계라는

동아시아의 전통적 질서의 실질을 살핀다. 마지막으로 17세기 이후

시작된 유럽제국과의 마찰과정에서 영토와 주권에 관한 관념 및 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도 소개한다.

그 외에도 이 책에는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가득한데

백두산에 대한 만주족과 조선의 인식 변화와 백두산 정계비 이야기,

청나라로 떠나는 조공 일행의 경제활동과 그로인한 마찰 이야기 등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대소사가 생동감있게

다가오며 또 잊을만 하면 불타오르는 '간도 땅' 이야기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도

소개된다.

국가간의 외교와 경제 등 거시적 이야기 뿐 아니라 인삼이라는

보화를 둘러싼 인간의 탐욕까지 다채롭게 다룬 저자의 노고가

느껴지는 좋은 책이라는 느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