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에 대하여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도리스 레싱 지음, 김승욱 옮김 / 비채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도리스 레싱, <고양이에 대하여>

🖋 2020. 4. 29

🌙 사람과 고양이, 우리는 둘 사이에 놓인 벽을 넘으려 애쓰고 있다.

도시에서 고양이는 너무나 부자연스러운 삶을 살아야 하기 대문에 시골 농가의 고양이처럼 독립성을 터득하지 못한다.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작가, 도리스 레싱의 산문집이다. 특별하게도 이 책은 고양이에 대한 말들로 이루어져 있다. 책표지 뒷면을 보면 '현대사회의 모순에 천착한 작가'라는 구절로 레싱을 소개하고 있다.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보면 충분히 이해가 가능한 구절이다.

이 책은 1967년, 1989년, 2000년에 발표한 에세이들을 하나로 엮은 책으로, 레싱과 함께한 고양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인생의 중요한 순간마다 곁에 있어준 고양이들에게 보내는 다정한 연민과 찬사.

그런데 옆구리가 다시 수축하자 녀석은 고개를 돌려 나를 바라보았다. 짜증스럽고 화가 나서 어쩔 줄을 모르는 듯했다. 녀석의 표정과 몸이 하는 말은 분명했다. 아, 진짜 귀찮아 죽겠네! 나는 녀석에게 명령했다. 이층으로 가! 올라가라고! 녀석은 골을 내며 올라갔다.

본문 p. 76

내가 재미있게 읽었던 부분은 고양이의 출산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우리는 학교에서 출산에 대해 배울 때 출산이 아름다운 과정이며 신성한 것이라고 배워왔다. 그렇지만 요즈음에는 그런 인식보다 현실적인 출산에 대하여 교육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고 생각한다. 출산을 할 때 어디를 절개하는지, 얼마나 아픈지, 몸에서 무엇이 나오는지, 출산을 하고도 몇 주간을 고통에 시달려야 하는지와 같은 것들 말이다.

출산이 단순히 신성한 것이라고 배워왔던 멍청한 인간 1이었던 나는 레싱의 관찰력과 묘사에 웃음이 났다. 고양이는 출산에 기뻐하기보다는 짜증을 내고 귀찮아하는 듯했다. 그래도 처음으로 태어난 새끼가 보이자 새끼를 알아보고 몸을 핥아주었다는 구절이 나오자 경이로웠다. 출산이란, 그리고 자식이란 대체 무엇일까?

그리고 그것도 잠시 고양이가 자식들에게 신경을 쓰지도 않고 내버려두었다는 대목에서는 나도 조금 놀랐다. 모성애는 타고나는 것이라고 배웠고, 동물들의 세계에서는 그게 더할 줄 알았는데. 아니었던 건가.

고양이와 함께 사는 것은 정말 대단한 호사이다.

하루에도 몇 번씩 충격적이고 놀라운 즐거움을 맛보고, 고양이의 존재를 느끼는 삶.

나는 고양이를 키워본 적이 없다. 하지만 고양이를 키우는 친구들의 말을 들어보면 부러울 때가 많다.

비단 고양이뿐 아니라 개도 마찬가지다. 정이 들고 헤어질 때가 두려워 그들을 들이지 못하는 나로서는 대리만족할 수 있는 매개이기도 하다.

이 책을 읽으면서도 마치 친구들의 고양이 썰을 듣는 듯한 느낌이라 좋았다. 무엇보다 작가의 관찰력이 정말 환상적이다. 묘사를 읽어나가다보면 가지각색의 고양이들이 내 눈앞에 존재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고양이의 모든 것을 묘사한 작품이라고 하면 맞을까. 고양이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독자들이라면 정말 한 번쯤 읽어봄직한 책인 것 같다. 더 나아가 동물을 사랑하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작가의 시선에서 본 고양이의 사랑스러운 모습들을 책으로 직접 감상해보시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