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에리히 프롬 지음, 라이너 풍크 엮음, 장혜경 옮김 / 김영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에리히 프롬,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 2022. 1. 27

🌙 우리는 왜 자신의 삶을 사랑할 자유를 잃어버렸는가?

고등학교 때 철학이나 윤리를 조금이라도 공부해본 독자라면 모를 수가 없는 이름, 에리히 프롬.

그의 베스트 셀러는 역시 <사랑의 기술>이다.

이 책은 국제 에리히 프롬 협회 이사인 라이너 풍크가 편집한 유고이며, 9개의 챕터들로 이루어져 있다.

삶에 대한 사랑을 이야기하려면 먼저 우리가 삶을 무엇이라 생각하는지부터 이야기해야 한다.

본문 p. 25

​원래는 철학을 그렇게 좋아하는 편이 아니었던 내가, 대학을 다니고 수많은 책들을 접하면서 어느새 철학책을 재미있는 눈길로 쳐다보고 있다는 걸 깨달았다. 이 책도 그래서 선택했고, 읽어냈다.

이 책 역시 결국은 철학과 관련된 책이다.

그렇다면 철학은 과연 무엇일까?

나는 철학이 '생각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자연스럽게 넘겨버렸던 존재들에 대해 생각하는 학문.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는 사랑과 삶에 대한 철학을 담고 있다.

사랑과 삶에 대해 생각하는 책이다.

그래서 삶에 대한 사랑을 논하려면 먼저 삶에 대한 정의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정의를 모르고 존재를 논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프롬은 삶이 항상 과정이라고 이야기 한다.

변화와 발전의 과정이자, 기존의 구조와 환경이 주고받는 끝없는 상호과정의 과정.

그리고 그는 사랑에 적용되는 기본 원칙을 논한다.

1. 내 사랑이 적절할 것.

2. 상대의 욕망과 본성에 맞을 것.

우리는 삶을 사랑할 때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 걸까?

이에 대한 답을 찾고 싶다면 꼭 이 책을 읽어보셨으면 좋겠다.

프롬은 이미 삶을 사랑하며, 살아 있다고 느끼는 능력이 점차 줄기 시작했다고 보았다.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프롬은 삶, 사랑, 살아 있음을 현대인의 핵심 문제로 삼았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인간은 적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고, 그 과정에서 많이 변화했다.

인간의 심리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쾌락만을 추구하는 삶을 살기도 하고, 자기혐오에 너무나도 쉽게 빠지기도 한다.

내가 진정으로 삶을 사랑한 적이 있었을까?

위와 같은 질문을 던지게 만드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삶을 사랑한다는 게 무엇인지, 진정으로 내가 내 삶을 사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셨으면 좋겠다. 그렇게 어려운 책은 아니라서 즐겁게 읽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