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물학적 마음 - 뇌, 몸, 환경은 어떻게 나와 세계를 만드는가
앨런 재서노프 지음, 권경준 옮김, 허지원 감수, 권준수 해제 / 김영사 / 2021년 6월
평점 :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뇌는 인간 행동에 본질적인 역할을 하지만 뇌만으로 인간을 설명할 수 없다.
우리는 보통 '뇌'가 인간의 행동을 조종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간이 곧 뇌 그 자체라고는 보지 않는다. 이는 왜일까?
우리나라는 심폐사를 죽음으로 인정하지만,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나라도 있다. 이건 왜일까?
뇌에 대한 인간의 궁금증은 오랜 기간 이어져왔다. 우리 몸을 움직이게 하는 가장 본질적인 신체기관. 그렇다면 뇌와 마음의 상관관계는 어떻게 될까? 이러한 궁금증에서 시작한 것이 이 책이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뇌과학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많은 독자들이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읽어보면 그리 어렵지만은 않은 책이라는 걸 깨닫게 된다.
아마 순수수학이라는 학문보다 더 지적인 활동이 있을 수는 없겠지만, 수학자들이 생각하는 방식조차 그들의 신체와 연관될 수 있다.
책을 읽으면서 조금 웃겼던 건 작가의 덕후력이 책에 그대로 묻어나서였는데...!
메사추세츠 공대 생명공학부 교수라면 얼마나 본인이 공부했던 분야에 대한 자부심이 크겠는가. 자신이 평생을 공부해온 뇌과학이라는 분야에 대한 진지함이 여실히 드러나서 정말 좋았다.
과학은 내가 정말 무지한 분야 중 하나인데, 이 책을 읽으며 조금이나마 뇌과학에 대한 흥미가 생겨 기뻤다.
단순히 뇌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게 아니라 수많은 분야와 융합하여 설명해주니 훨씬 알아듣기 편했다.
가장 흥미롭게 읽었던 파트는 신경 본질주의를 다루었던 부분이다. 미국 역사상 최악의 대량 살인 사건 중 하나를 저지른 찰스 휘트먼의 이야기를 채용하고 있는데, 그의 심리와 뇌의 변화를 알기 쉽게 설명해주고 과학적인 주장을 내놓는다. 신경생물학자 로버트 사폴스키가 "사람을 의료화하여 고장난 자동차로 만드는 것은 비인간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설교를 통해 그들을 죄인으로 만드는 것보다는 훨씬 더 인간적일 수 있다."라고 한 것도 굉장히 인상깊었다.
우리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위치에 있었다면 그러한 상황이 우리의 뇌에 어떻게 작용했을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어야 하며, 그러면 불행한 사람들의 시련을 더 쉽게 이해할 것이다. 우리가 이것을 더 많이 이해할수록, 우리는 서로를 더 많이 이해하고 더 빨리 함께 발전하게 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과학이라는 분야에 흥미를 가진 독자들은 꼭 읽어보셨으면 좋겠다. 하지만 나처럼 과학에 무지한 독자들도 뇌과학에 입문하기에 바람직한 책이니 한 번쯤 도전해보셨으면 좋겠다. 다만 원문을 번역하고 옮긴 것이라서 그런 건지 약간 문장이 길어지거나 어색한 부분이 있다. 그쯤 감안하셔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