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란다 복제하기 사계절 1318 문고 143
캐럴 마타스 지음, 김다봄 옮김 / 사계절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벽한 아이.

미란다는 완벽한 아이였고, 그래야했다.

공부도, 발레도 완벽했고, 부모님의 말씀도 잘 듣는 미란다는 친구 엠마가 답답해 할 정도로 바르게 완벽한 아이였다.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한번씩은 다 한다는 반항도 하지 않던 미란다에게 변화가 생긴 건 눈앞이 보이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면서 부터였다.

미란다의 눈 뒤에 종양이 자라고 있어 그대로 두면 곧 죽을지도 모른다는 진찰 결과를 받아든 미란다는 여태까지의 자신의 삶이 부정당하는 기분이 들었다. 금방 죽을 지도 모르는 상황 속에서 자신의 삶을 다른 관점에서 보게 되었고, 그러다 보니 점점 자신을 둘러싼 하나하나가 왠지 모르는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자신의 병을 고치기 위해 갔던 클리닉 센터에서 자신과 똑같이 생긴 아이를 보고, 그리고 그 아이가 자신의 병을 낫게 해줄 자신의 복제라는 것을 알고 난 후 윤리적인 고민과 갈등을 하게 된다. 자신도 살리고, 그 아이도 살려 함께 하고 싶다는 생각에 난생 처음 부모님께 반항도 해보고,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그대로 밀고 나가본다.


내가 살기 위해서 다른 사람의 생명을 빼앗아 소모품으로 사용하는 것이 옳을까? 처음부터 그런 '용도'로 만들어 졌다면 그러면 소모품으로 '사용'해도 되는 것일까? 


이 책은 주인공 미란다가 복제인간이라는 점을 숨기지 않는다. 오히려 드러내면서 읽는 독자로 하여금 옳은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한다. 처음에는 자신의 병 따위는 상관 없다는 듯이 어떻게 보면 철없이 구는 미란다를 답답해 하기도 하지만, 내가 만약 미란다 상황이라면 나를 위해 만들어졌다는 이유로 그녀를 사용해도 되는 건가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녀를 집으로 데려간 후에도 지나치게 그녀를 걱정하는 미란다는 보며 왜 그런지 의심하면서도 결국 미란다의 그 감정과 느낌이 맞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는 어떻게 그녀가 문제를 해결 해 나갈지 집중해서 보게된다.


그 해결 과정이 다소 무모하고, 치밀하지는 않지만 소설 속 미란다는 10대 청소년이기에 당연히 그럴 수 있는 감정적인 선택들이이었다. 자기 자신도 애초에 복제인간이었고, 복제인간인 자신을 위한 복제가 있고, 그게 또 하나가 아니라는 발상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복제 인간의 존재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고, 마지막까지 우리가 무사하기를 바라는 두 대상이 인간이 아니라 복제 인간이라는 것을 한번 더 깨달을 때 묘한 기분이 들었다.


SF소설 장르에서 최근 자주 사용되는 복제된 사람은 진짜일까 가짜일까라는 주제에서 그 존재 자체의 의미를 생각하게 해주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