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6 - 조선이 새로운 변화를 꿈꾸다 (1600년~180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6
이욱 지음, 최양숙 그림 / 웅진주니어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권에서 조선의 건국과 새 나라의 기틀을 다져 나가는 조선 전기의 역사를 살펴 보았다면,

6권 <새 나라 조선을 새우다>자영농 중심의 자급자족 경제에 바탕을 두던 조선이

빠르게 상품 화폐 경제로 나아가는 조선 후기의 역사를 만날 수 있다.

 

조일 전쟁후 광해군의 명과 후금에 대한 중립 정책으로 잠시 안정을 찾는가 싶었지만, 

후금의 두차례 침략으로 조선은 다시금 전쟁에 휘말리게 된다.

조일 전쟁과 조청 전쟁 직후, 막심한 피해를 입었던 조선... 이를 수습하려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키고자 했으며, 백성들의 삶에 관심을 돌려 다양한 정책들을 펼쳤다.

이앙법으로 농업 생산력이 증대됨과 동시에 대동법의 실시로 상업이 발달하게 되고,

상평통보의 유통으로 조선의 상품 경제는 더욱 발전하면서 변화와 개혁의 시대를 맞게 된다.

 

 책을 읽다 보니 우리나라가 참으로 많은 나라들에 침략을 당하고 전쟁을 치르고, 힘들어 했음을

느낄수 있었다. 조선시대 하면 혈육간, 혹은 당파간 싸움이 잦고, 그것이 나라를 더 어렵고

혼란케 하였음을 알수 있는데, 만약 그때 눈앞의 욕심과 이익보다는 멀리 세계 정세와 흐름을 이해하는

안목과 시각이 있었더라면, 확실한 신념을 가진 흔들리지 않는 리더가 있었더라면 우리나라가

세계 정세의 흐름에 뒤쳐지지 않고, 침략을 당하지도 않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은 든다.

그러면 우리 조선의 역사는 많이 달라졌을텐데 말이다.

조선 시대의 역사를 보면서 리더의 자질과 중요성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그러한 전쟁과 침략속에서도 우리 민족은 포기 할줄 몰랐다는 것이다.

오히려 그러한 위기를 기회로 삼아 극복하고자 더욱 노력하였으며, 다른 나라의 새로운 문물과

문화를  받아들여 우리만의 것으로 계승하였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과학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른 발전을 보였다는 점이다.

가히 의지의 한국인이라 부를만 하다...

이러한 의지와 인내, 노력등은 지금의 우리 아이들이 꼭 본받았으면 하는 점이기도 하다.

 

조선 후기의 시대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변화와 개혁'이 아닐까 싶다.

그만큼 많고 다양한 사건사고가 일어났고, 발전에 발전을 거듭한 시기라고 할수 있다.

헷갈리기 쉽고, 어렵게 느껴질수 있는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이지만 이 책과 함께 하다보면 그닥

한국사가 어려지만은 않음을 단번에 느낄수 있을것이다.

역사의 흐름을 파악하고 그 흐름 속에서 사건들을 이해할수 있도록 이끌어 주니

이제 한국사 두렵고, 어렵지만은 않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