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3 - 남북국 시대가 펼쳐지다 (650년~94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3
윤재운 지음, 김민선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권에서는 남북국 시대가 펼쳐지다라는 제목으로 650년~940년까지... 그러니까 삼국을 통일하고

대동강 남쪽을 차지한 신라, 고구려의 옛 땅 대부분을 차지한 발해의 역사를 담고 있다.

간략하게 정리해 보자면 통일 신라와 발해라는 나라의 시작과 끝을 만나 볼수 있는 책이라고 할수 있다.

신라가 어떻게 자기보다 강대국이였던 고구려와 백제를 무너뜨리고 삼국을 통일할수 있었는지,

또 다소 혼란스럽고 어지러울수 밖에 없는 정국속에서 어떠한 새로운 조직과 행정 조직으로

나라를 재정비하고 발전시킬수 있었는지, 그 속에서 어떻게 불국사와 석굴암 그리고 세계 최초의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같은 우리 민족의 찬란한 문화들을 꽃피울수 있었는지,

왜 몰락의 길을 걸을 수 밖에 없었는지를 아주 상세히 살펴볼수 있었다.

 

한편 이 시기하면 빼 놓을 수 없는 나라가 발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에는 아주 소홀히

다루었던 역사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 책은 다른 역사책에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았던

발해의 이야기를 상당히 자세하게 다루고 있어서 적잖히 놀랐다. 아무래도 시대별 전문가가

집필하여 최신 연구와 자료들을 담아내었기에 가능하였으리라 생각해본다. 

고구려 유민인 대조영이 힘을 키워 발해를 건국한 이야기부터 발해의 무왕과 문왕이 나라의

틀을 다지고 문화와 경제를 발전시키는 이야기, 해동성국으로 이름을 떨치던 발해가 갑작스럽게 

몰락하게 되는 이야기들을 보다 정확하고 자세하게 배울수 있었던 시간이였다.

더불어 쉽게 보기 힘들던 발해의 다양한 유물과 유적 사진을 만날수 있어 흥미로웠다.

 

사실 이 시기의 문화라면 화려하고 찬란한 신라의 문화를 먼저 떠오르기 마련인데,

이 책을 접하고 보니 발해 문화 또한 만만치 않다는, 신라 못지 않게 우수하다는 느낌이 든다.

활달하면서 화려한 느낌의 유물과 화려한 귀족 장신구, 소박하고 인간적인 느낌의 발해 불상을

보면서 여태껏 보지 못했던 또 다른 발해의 모습을 보았던 것 같다.

이렇게 여러 문화가 어루러져 발해 문화의 문화로 재탄생하게 된 과정을 보면서 교역국가였던

발해의 역사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는 계기가 된것 같다.

여기에는 생생하고 풍부한 사진과 그림이 한몫 톡톡히 한것 같다. 많은 양의 생생한 사진과

친근한 그림들은 마치 내가 역사 현장에 직접 있는 듯한 느낌을 주어 생생함을 더해주고,

역사에 더욱 흥미를 느끼고 관심을 가질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우리가 흔히 아는 신라와 발해 이야기, 하지만 이 책에는 또 다른, 그리고 더 많은 신라와 발해

이야기가 많이 숨어 있다.

그러한 이야기를 찾아 보고 만나 봄으로써, 신라와 발해에 대해서, 그리고 우리의 역사에 대해서

더욱더 흥미를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되어 줄 것이다. 이 책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