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비룡소 클래식 33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지음, 에드워드 윌슨 그림, 박광규 옮김 / 비룡소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워낙에 뮤지컬이나 영화, 연극으로도 만들어져 유명한 이야기라서 내용을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책으로 읽어 보니 어쩌면 나는 그냥 대충의 내용만 알고 있었던게 아닐까? 하는 반성을 하게 되었다.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는 같은 사람이지만 서로 다른 외모와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다.

보통은 한 사람이 상황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이는 걸 보이거나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을 이중인격자라고 하는데 그런 면에서 지킬 박사는 이중인격자임이 틀림없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자신이 생각하기에 추악한 모습을 모두 가진 하이드 씨를 만들어 냈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명망도 있는 지킬 박사가 자신의 추악한 욕망등을 따로 모아서 하이드 씨를 만들어 낸다는 이야기 자체가 충격적이긴 하다.

어차피 인간은 이중성을 가지고 있고 그 이중성을 얼마나 잘 숨기고 살아가는지에 따라 그 사람이 존경을 받는 인물이 되던지 아님 손가락질을 받는 사람이 되던지 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곤 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인격을 이렇게 선과 악 두종류로 마치 물과 기름처럼 분리 할 수 있다면 과연 세상은 어떻게 될까? 하는 의심이 생겨났다.

하이드씨의 모습을 보고 모든 사람들이 알 수 없는 기분나쁨을 느꼈다고 하는데 과연 과연 하이드씨에겐 지킬 박사의 훌륭한 면은 하나도 없었을까? 하는 궁금증도 생겼다.

차라리 지킬 박사가 스스로가 완벽하고 훌륭한 사람이라는 생각을 버렸더라면 어터슨 변호사처럼 스스로에 엄격하더라도 방탕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가졌다면 다른 방탕한 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서 대리만족을 느꼈기 때문에 하이드 씨를 만들어 내어 스스로 억압하고 있는 감정을 표출하려 하지 않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하였다.

엉뚱하게도 난 이 책을 읽으면서 지나치게 자신을 엄격하게 대하지 말아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물론 아이에게도 그렇게 대하지 말아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너무 지나친 완벽주의는 어쩌면 지킬 박사 처럼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들었기 때문이다.

어렵다고 생각하면 어려운 이야기를 쉬운 말로 풀어 주고 중간중간에 이야기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그려진 그림이 있는 비룡소의 지길 박사와 하이드 씨는 고전을 읽기 시작한 아이들에게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다 읽은 후에 책꽂이에 꽂아 장식용 책으로 두기 보다는 종종 꺼내 읽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는 그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지킬 박사이기도 하고 하이드 씨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