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착한 수학 - 아이와 부모 모두가 행복한 초등 수학 혁명
최수일 지음 / 비아북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이과출신이긴 해도 대표적인 수포자였던 나는 내 아이만은 수학만큼은 어려워하지 않고 잘했으면 하는 바램이 있었다.
내 수학공부의 실패원인은 아마도 기초부족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에 아이에게 교과서는 물론 한 학기에 세 권정도의 수학문제집을풀게 하고 있었다.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우선은 교과서야 하면서도 내 마음은 더 많은 문제집을 풀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고 있었는데 이 책을 만나게 된 건 나나 아이에게 정말 좋은 기회였다는 생각이 든다.
작가인 최수일 교수님께서는 말한다.
초등학교는 물론 중학교까지는 엄마가 함께 해도 충분하다고. 하지만 내 주위사람들은 벌써 과외를 하든 학원을 보내든 수학은 엄마의 손을 떠나 다른 사람의 손에 맡겨지고 있다. 나 역시 그 갈림길에서 고민하고 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교수님의 말을 따르기로 했다.
아이와 함께 공부하면서 아이를 선생님 삼아 공부를 하자고.
교수님의 수학공부 방법 중에 아이가 다른이에게 그 개념에 대해 설명을 하게끔 하라고 하셨는데 예전에 나도 그런 생각을 하고 칠판을 구입해서 아이 공부방에 달아 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칠판을 장식용으로만 사용하고 있었음을 반성하였다.
생각만 하고 아무것도 하질 않는다는 건 아무 소용이 없다는 사실을 다시 깨달은 계기가 되었다.
책을 읽다보니 그동안 나는 아이의 수학흥미지수를 마구 떨어뜨리는 행동을 서슴치 하고 있었다. 나의 이런행동들로 인해 어쩌면 수학을 가장 좋아하던 아이가 수학을 지겨워하고 싫어하게 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내가 아이한테 한 수학공부 방식은 아이에게 문제집을 주고 풀라고만 했지 함께 할 생각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채점을 하면서 "이걸 왜 틀린거야!" 라고 화내며 지적만 하였지 정작 아이가 얼마큼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질 못했다. 이런 패턴이 계속되다 보니 아이는 아이대로 스트레스를 받고 문제의 내용을 이해하기 보다는 이 문제가 맞냐 틀리냐로 수학공부의 질을 정하고 있었다. 한마디로 질 떨어지는 수학공부 였던 셈이다.
수학은 많은 문제를 많이 푸는것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걸 책은 말해 주고 있다.
수학개념을 얼마큼 많이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이해를 하고 그 이해 한 것을 설명을 할 수 있는지가 수학을 잘하느냐 못하느냐를 결정 지을 수 있다는 걸 알았다.
교수님 말씀대로 수학사전을 하나 장만 해 두어야 겠다.
국어의 말뜻을 모를때 국어사전을 찾아 뜻을 알듯이 수학사전이 있다면 수학공부를 하면서 잘 이해가 되질 않는 부분에 대하여 좀 더 잘 알 수 있지 않을까?
수학을 책상에서만 하는 문제풀이 학문이 아닌 실생활에서 우리 생활을 얼마나 편리하게 해 주고 있는지를 아이와 함께 찾아 보면서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잃지 않고 즐겁게 공부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수학을 포기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나 아이의 수학공부에 대해 무조건 학원을 보내야 한다고 믿는 엄마들에게 이 책을 권해주고 싶다.
수학은 어떻게 공부하느냐에 따라 더 이상 나와 내 아이를 괴롭히는 과목이 아니라는 걸 알게 해 주는 좋은 책이다.
제목 그대로 착한수학 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