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유대인
슐로모 산드 지음, 김승완 옮김, 배철현 감수 / 사월의책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1장 민족 만들기에서 '유대인 매트릭스'를 만들 이론이 준비되었다면, 이제 이를 뒷받침해 줄 역사적 당위성을 장착할 차례다. 그것이 제2장 역사가 된 신화-하느님이 만드신 민족이다. 이번에는 세상에서 제일 재미있는 구경 중 하나라는 '싸움'이 들어있다. 물론 치고받는 건 아닐지라도 식자들의 말싸움도 그에 못지않은 재미를 제공해 주니 밤새워 읽기에 충분하다. 


신의 섭리가 행한 초자연적인 일이 갑자기 진실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었는데도 이 초자연적 사건과 밀접하게 엮인 인간의 이야기는 어찌하여 역사적 진실로 계속 남을 수 있었을까? (137p) 


그것은 바로 역사학자들의 피, 땀, 눈물 덕분이다. 최초의 유대인 역사서인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유대고대사>부터 시오니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이크하츠 베어의 <갈루트>까지 어떻게 '신화역사'라는 장르가 탄생했는지를 추적한다. 


히 재미있는 부분은 최초로 유대민중을 발명한 하인리히 그레츠, 반유대주의를 학문적으로 정당화하려 한 하인리히 트라이치케, 시민적 민족주의를 주장한 테오도르 몸젠의 3파전을 다룬 내용이다. 이들은 '푈키쉬'한 역사관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인종적 의미의 민족적'인 역사관으로, 훗날 나치가 그럴듯하게 써먹은 역사관이라고 한다. 


이 세 학자는 각자의 주장은 노선을 달리했을지라도 모두 푈키쉬를 내재하고 있었다. 그 시작점에서 선민사상(그레츠)이 등장했고, 이것이 게르만족의 정체성을 위협한다며 너네 꺼져라고 비난했으며(트라이치케), 그들이 너무 격화되자 근대 민족은 다양한 문화의 혼합된 결과물이니 이왕 같은 영토에서 사는 거 사이좋게 지내자는 시민적 민족주의(몸젠)까지, 1930년대의 독일은 유대인과 게르만족의 종족주의가 상당히 격화된 시기였다. 


이를 적당히 버무려 다독다독 살면 좋았을 것을 이크하츠 베어라는 유대 역사학자가 1936년 <갈루트Galut, 히브리어로 '해방'>라는 에세이를 발표, '우리가 태어났지만 떠날 수밖에 없었던 그곳으로 돌아가야만 한다'라는 시오니즘 최기 주장의 길을 닦았다. 하지만 이 무슨 운명의 장난인지 1930년대의 독일은 경제적 불황이 심각했고, 그들은ㅡ여전히 지금도 그러하듯ㅡ그 책임을 (종교적, 인종적) 소수자에게로 돌렸다. 거기다 <갈루트>가 발표된 1936년은 독일에서 유대인에 대한 적대감이 최고조에 달한 시기였다고 하니 <갈루트>는 억세게 눈치 없는 저작물이었던 것이다. 


영토 기반이 없던 유대인이 의지할 곳은 이제 '성경' 뿐이었다. 추상적이고 신화적인 기록에 불과했던 성서는 그들을 이끄는 '종족적 표지'가 되었다. 그들은 우리의 선조가 그리스도를 거부했기에 유랑하는 삶을 살아야만 했고, 이민족으로부터 박해를 당한다는 괴상한 신화역사를 드디어 체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성서의 따뜻한 품은 그 초자연적이고 전설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또는 바로 그런 특성 때문에) 그들에게 기나긴 정도를 넘어 거의 영원한 소속감을 제공해 줄 수 있었다. (244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