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현대수필 작법
오덕렬 지음 / 풍백미디어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 '평론집'은 미지의 세계다. 그동안 간간이 평론이라는 글은 읽어봤지만, 본격적으로 한 분야에 대해 평론을 담을 책은 처음 접해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조금은 설레는 마음으로 책을 펼친다. 


평자인 오덕렬은 평생을 교직에 몸담은 교육자이자 수필가라고 한다. 그의 평론집 <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현대수필 작법>은 15편의 고전 수필을 통해 수필隨筆의 본질을 논하고, 문법과 형식의 분석을 통해 문학 전반을 아우르는 평론을 담고 있다. 


주로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수필을 평론하고 있기 때문에 본문 자체가 낯설진 않다. 평자는 서구의 창작론이 들어왔을 때 우리의 전통적인 고전 수필에 대한 수필론을 확립하지 못했음을 아쉬워한다. 그리하여 이도 저도 아닌 '잡문'에게 수필의 자리를 내어 준 것을 이제라도 바로잡아 올바른 수필의 창작에 힘써야 함을 강조한다. 


솔직히 나도 수필 하면 '붓 가는 대로 쓴 글'이라는 교육을 받고 자란 세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 우후죽순으로 출간되는 수필 또는 에세이로 분류되는 도서들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수필이란 어느새 '나하고 맞지 않는 장르'가 되어 있었다. 생각해 보니 언제 읽어 봤는지도 까마득하고, 더더군다나 1920년대 이전 국내 문학을 읽어 본 기억은 거의 없다시피 한다. 


부끄러운 고백이지만 수필하면 떠오르는 건 피천득과 아사코가 전부다. 그것도 학창 시절 교과서에서 배운 기억이니 조선시대 한문 수필이야 더 말해 무엇하랴. 


<고전수필의 맥을 잇는 현대수필 작법>에 실린 15편의 수필은 몇몇 학자들이 번역해놓은 원전을 실었다. 그중 가장 아름답게 마음에 와닿은 작품은 연암 박지원의 <일야기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하루 밤에 아홉 번 강을 건너다)>와 다산 정약용의 <수오재기守吾齋記>였다. 평자는 이 글들을 분석하고, 배경을 설명하고, 사용된 문법에 대해 이야기 하지만, 그저 나에겐 몇 번을 읽고 읽었던 아름다운 글이었다. 본문에 실린 15편의 아름다운 문장만으로도 충분히 읽어볼 만한 책이다.


**네이버 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제공 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