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놀이 - 공지영의 첫 르포르타주, 쌍용자동차 이야기
공지영 지음 / 휴머니스트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9년, 그러니까 내가 대학에 신입생으로 들어간 해에 쌍용차 파업이 있었다. 신문과 방송에선 연일 나라에 큰일이라도 난 것처럼 떠들었다. 평소 진보적이라고 생각했던 나도 동기들과 놀고 수업 듣기에 바빠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렇게 시간이 흘렀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지 그때는 정말 알지 못했다.

 

2012년 소설 『도가니』의 작가 공지영이 이 사건을 르포형식의 책으로 출간했다. 물론 이 당시에도 관심이 없었다. 아니 몰랐다. 그 후 책의 이름과 내용을 듣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소설을 읽지 않는 나에게 ‘공지영’이라는 이름은 매력적이지 않았다. 책의 제목 『의자놀이』는 내게 소설의 이름으로 다가왔고, 저자의 이름값으로 팔리는 세상의 많은 책 중 하나일 뿐이었다.

 

그리고 2016년. 전례 없는 정치 스캔들이 대한민국을 흔들었다. 그 전에 있었던 세월호 사건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는 진지하게 ‘과연 국가란 무엇인가?’를 고민하게 만들었다. 닥치는 대로 국가에 관한 책들을 읽었다. 그 과정에서 드디어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책을 읽고 말 그대로 충격을 받았다. 내가 알던 쌍용차 파업의 전개과정은 거짓이었다. 진실은 더 섬뜩했고 참담했다. 책의 제목대로 죽음의 ‘의자놀이’였다. 내가 살기 위해 동료를 밀어내고 부족한 의자에 앉아야 하는.

 

2009년 5월 쌍용자동차 노조는 총파업을 시작했다. 그리고 2009년 8월 경찰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끝났다. 하지만 조현오 경찰청장은 형사상 고소·고발을 취하하고 책임을 묻지 않기로 했던 약속을 지키지 않고 노조원들을 체포했다. 제발 살려달라고, 같이 좀 살자고 외쳤던 이들에게 남은 것은 2백억 원이 넘는 민사상 손해배상청구소송과 3천만 원의 보험급여 환수 고지서였다. 그 파업 전·후로 그와 관련된 22명의 사람들이 자살을 했다. 왜 그들은 자살을 했을까? 국가는 도대체 왜 존재하는가? 생존을 위해 투쟁하던 사람들을 마치 테러범 진압하듯 짓밟는 것이 국가가 하는 일인가?

 

“사람이 스물두 명 죽었다. (중략) 그러나 우리 사회는 이상하리만큼 조용하다(41쪽).”, “국민이 용산에 대해 국가에게 관용을 베풀지 않았더라면 쌍용자동차 사태도 없었을 것이다. 용산 참사는 국가에게 '이렇게 진압해도 된다'는 몹쓸 교훈을 심어줬다(46쪽).”  이런 사건에 국민들이 끊임없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잘못한 점은 날카롭게 비판하고 심판해야 한다. 국민이 정치에, 사회에 관심을 끊으면 국가는 결국 망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우리가 관심을 갖고 기억하고 행동한다면 과연 달라질까? 적어도 우리가 무관심으로 일관한다면 결코 세상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자기들에게 이용당해주는 99%가 있기에 이 영화榮華도 영원할 것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배고픈 자들은 결코 모두 단결하는 법이 없으니까. 의자를 반만 가져다 놓고 빙글빙글 돌다가 앉으라고 하면 옆 사람들을 확 밀치고 자기만 살려고 할 테니까. 그게 인간이라고 그들은 확신하고 있는 것 같다. 그들은 그랬고, 그럴 테니까(16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