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이임숙 지음 / 무한 / 201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서평


엄마가 되기 위해 준비중인 여성이라면, 이미 엄마가 되어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여성이라면
​이책 집어들고 인생선배, 육아선배의 말을 들어보길...

미처 엄마가 될 준비가 안돼 있다가 갑자기 된 사람들도 있고,
아이를 간절히 기다리다가 아주 귀하게 아이를 얻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한가지 공통점은 그 아이들 모두 너무너무 소중한 자기 자식이라는 것과,
그 아이를 키우기에 엄마는 너무 초보자이며 아는 게 별로 없는 인간 사람이라는 것이다.

처음부터 여자는 엄마가 될 사람으로 태어나는 게 아니지만, 어느정도 본능적으로 엄마의 역할을 알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책에서나 드라마에 나오는 헌신적이고 완벽한 엄마는 없는 듯 하다.

아이를 갖고 감당하지 못해 우울증에 자살까지 하는 경우도 있지 않나?
'마더쇼크'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아이를 키우는 스트레스는 어마어마 한 것이다.
그래도 어느정도 마음가짐을 가지고 아이를 맞이한다면 시행착오가 조금은 줄어들지 않을까?​

또한, 엄마의 역할은 너무 어마어마해서 그만큼 많이 힘들어 하는 게 아닐까?

"엄마는 정확하고 민감해야 하며 정신적으로 강해야 한다. 가족에 관한 모든 사항들
즉, 경제, 교육, 건강, 정서들을 잘 다룰 수 있어야 하며, 누구보다 강한 호기심과 의욕이 있어야 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 모두와의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

엄마들에게 자기가 되고 싶은 엄마의 유형을 물어보니 1위가 '친구 같은 엄마'라고 한다.
하지만, 친구같은 엄마가 되기란 여간 어려운 게 아닌 것 같다.

예전처럼 헌신을 자처하거나, 양육을 위해 기꺼이 자신을 무조건 희생할 엄마는 요즘 세상엔 없지 않을까?
세상이 변한만큼, 양육방법과 가치관에도 변화가 필요한 것 같다.​
그만큼 아이에게 강요되는 나의 가치관이 가장 중요할 터인데,
이 책에서 그 가치관 정립을 아이와 엄마 양쪽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세우고 가르쳐?주고 있다.

또한 이 책에서는 엄마들의 아이 양육방법에 있어,
지시적이고 일방적인 사랑을 주는 양육법이나, 비싼 교육비가 들어가는 보여주기 식의 자기만족 교육이 아닌
진정으로 아이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고, 아이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보고,
아이의 심리상태나 관심분야에 중점을 두고 양육을 하라고 조언해준다.

즉, 나 살아가는 일상에 치여 아이의 하루하루를 어떻게 보내고 있는 지 파악하고,
아이 심리가 어떤 상태인지 파악하고 어루만져 주는 양육법에 대해 육아 선배로써 친절하게 가르쳐준다.



다시 아이가 어린 시절로 돌아간다면 나는 하루 종일 아이의 눈을 맞추고 아이와 함께 호흡하고
아이의 몸을 어루만지며 시간을 보내고 싶다. 이야기도 들려주고 밑천이 떨어지면 책도 읽어주련다.
작은 화분이나 미니 텃밭을 만들어 방울토마토가 커 가는 모습을 아이와 함께 지켜보고 싶다.
빨갛게 익은 토마토를 상상하는 즐거움을 만끽하고 싶다.
아이가 표정으로 말하는 많은 말들을 다 이해하고 아이가 무엇을 바라보는지 함께 바라보고 싶다.
아이의 마음을 묻고 또 물어보며 아이가 만들어 가는 길을 뒤에서 지켜주며 걸어가고 싶다.
그래야 아이가 더 잘 자란다는 것을 그때는 몰랐었다.

결국 나 자신을 위한 양육이 아닌,
아이 자체를 바라봐주고, 묵묵히 뒤에서 응원해주며 진심을 다해 놀아주는
그런 엄마가 되라고 얘기해준다.

아이야, 미안해.
너와 더 많이 놀지 못해서 미안해.
네가 더 많이 웃게 해주지 못해서 미안해.
손가락 걸며 했던 많은 약속들을 지키지 않아서 미안해.
행복하게 너를 키울 수 있다는 걸 알지 못해서 미안해.
네가 잘 크고 싶었다는 걸 몰라서 미안해.
네가 잘하고 싶은 아이라는 걸 몰라서 미안해.
네 속에 그토록 많은 씨앗이 있다는 걸 몰라서 미안해.
너를 온전히 믿지 못해서 미안해.
엄마의 가치관을 강요해서 미안해.
네가 느낄 수 있는 사랑을 주지 못해서 미안해.


이 책, 엄마가 되기 전에 읽거나
아이를 키우면서 너무 힘에 부쳐 우울증에 빠졌거나,
아이를 키우면서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읽으면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나만 아이 키우며 힘든 건 아닐테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