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 키울 때 꼭 알아야 할 12가지 - 한 권으로 끝내는 딸 키우기 아들 딸 키우기 양육 시리즈
이안 그랜트.메리 그랜트 지음, 유윤한 옮김 / 지식너머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아들 키울 때 꼭 알아야 할 12가지>를 읽었다.
그리고 그 쌍둥이 책, <딸 키울 때 꼭 알아야 할 12가지>를 읽었다.

난 아들만 있는 엄마지만,
언젠가 딸을 낳을지도 모르니까(?!),
그리고 무엇보다 딸에 대해, 여자에 대해 알 수 있을 것 같아
어쩌면 <아들 키울 때 꼭 알아야 할 12가지> 보다 더 기대하는 맘으로 읽었다.

 

 

 

 

 

 

무엇보다 깜짝 놀랐던 것은, 책의 두께!
손에 쥐었을 때, 손에 느껴지는 페이지 수가
<아들 키울 때 꼭 알아야 할 12가지> 에 비해 확연히 많았다는.

아들보단 딸이 복잡한 존재라는걸,
이렇게 손으로 느낄 수 있는 책이라니.
혼자 킥킥대며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은 쌍둥이 책인 <아들 키울 때 꼭 알아야 할 12가지>처럼,
'딸은 부모와의 애착 관계에서 안정을 찾는다',
'딸의 본성을 이해하면 양육의 반은 끝난다',
'자존감은 딸의 성장에 필수다',
'험난한 디지털 세상에서 딸을 지켜라',
'십대 딸을 이해하려 하지 마라' 등의 챕터들 이루어져 있는데,
<아들 키울 때 꼭 알아야 할 12가지>는 정확히 열 두 챕터로 이루어져 있었던 반면,
<딸 키울 때 꼭 알아야 할 12가지>는 열 네 챕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고 어쩌면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그래서 이 책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내용이자
다른 내용들의 전제가 되는 사실이 바로,
'딸은 관계지향적이다'는 것이었다.

아들은 엄마와는 달리 너무 단순해서,
자라면서 놓치기 쉬운 것들을 엄마가 먼저 인식하고
놓치지 않을 수 있도록 세세하게 살피면서 양육해야 한다면,
딸은 너무도 복잡한 존재여서
함부로 이해하려 들지 말고,
관계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
책을 읽고 난 전체적인 느낌이었다.

 

 

 

 

 

 

 

그리고 책에서는, 여자아이의 기질적 특징이나
시기별 특징, 성장과정에 대한 설명들도 있었지만
여자아이를 낳기 꺼려하는 사람들이 생길 정도로
너무도 잔인한 각종 범죄나 뉴스들,
그리고 칼날이 보이진 않지만 칼날이 숨겨져 있는
각종 광고와 마케팅, TV 프로그램 등에 대해서도
상당한 페이지를 할애해 얘기하고 있어서 난 특히 주의깊게 읽었다.

여자아이들은 관계지향적이기 때문에
무리에 소속되어 동질감을 느껴야 편안해하고,
그러한 특징을 이용하는 나쁜 어른들 때문에
좋지 않은 문화에 노출될 확률이 높다는 것.

부모가 그러한 모든 유해한 환경을 차단하는 것은
이미 불가능한 현실이 되어 버렸기에
그러한 현실에서 어떻게 딸을 지켜야 하는지,
어떻게 지혜로운 여인으로 키울 수 있는지 나와 있어서
나는 딸 가진 엄마가 아닌데도, 정말 공감하며 읽었다.

 

 

 

 

 

 

또한 성장하는 과정에서 호르몬의 영향을 많이 받는 여자아이들,
그리고 남자아이들에 비해 2차 성징이 뚜렷한 여자 아이들이
어떻게 그 과정을 지혜롭게 넘길 수 있는지도 나와 있었고,
나중에 엄마가 될 여자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게 하기 위해서
엄마가 알고, 지켜야 할 사항들도 잘 나와 있었다.

 

 

 

 

 

낳고 키우는 수고로움을 감당하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라,
아이들이 맞닥뜨려야만 하는 현실이 너무도 차갑고 냉정해서,
아이를 갖고 싶지 않다고 하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를 닮고, 사랑하는 사람을 닮은 아이를 낳아
함께 기쁨을 나누고 행복을 느끼며
내 아이가 자랄 세상을 더 안전하고 평화로운 곳으로 만들기 위해
오늘도 열심히 애쓰며 수고하는 부모들이 더 많다.

그런 부모들에게,
이 책은 위안이 되어주고 훌륭한 지침이 되어 줄 것 같다.

이 험한 세상에서,
내 아이를 어찌 키워야 할지 고민중인 부모가 있다면,
이 책을 꼭 권하고 싶다.

이 책의 쌍둥이책,
<아들 키울 때 꼭 알아야 할 12가지>와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