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버 (양장) - 제15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나혜림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당 9,120원, 킬로그램당 150원.
정인의 세상에선 모든 시간과 무게에
돈이 붙는다. 다른아이들도 그럴까?
2박 3일에 354,260원이라는 게
어떤 의미인지 태주도 알까?
20페이지

중학생이라 할 수 있는 아르바이트는 귀하고 그나마도 일주일에 3일만 할 수 있다. 부러 느릿하게 걷는 걸음은 폐지를 탐색하기 위해서다. ‘아르바이트가 없는 화요일과 목요일, 정인의 반나절은 고작 1,050원어치다. (P.19)’

수학여행비를 지원해 줄 수 있다는 선생님의 제안에도 단 한 번 뿐인 여행을 갈 수 없는 건 수학여행에 드는 돈은 수학여행비만이 아니기 때문일 거다. 수학여행을 간다는 선택은 정인에게는 주어지지 않는 선택지, 간다 안 간다라는 보기만이라도 갖는 것이 바람인 정인의 앞에 밤처럼 어둡고 초콜릿처럼 매혹적인 고양이가 나타난다. 만약을 선택을 하면 모든 것을 이루어 진다고, 선택을 할 수 없었던 정인에게 그 유혹의 말은 ‘스토롱 핫초코’보다 더 강력했다.

선택의 여지없이, 오늘 저녁은 라면밖에 없는 삶, 아끼고 아껴도 결국 텅 빈 찬장만이 남는 삶에서 진열장 가득한 한정판 에어맥스(태주가 귀한 줄도 모르고 구겨 신는), 생전 처음 타보는 비행기(그것도 퍼스트 클래스), 좋아하는 아이와 단둘이 나누는 대화 같은 상상의 세계에서 계속 머무는 선택을 기꺼이 하고 싶지 않을까?

우리가 얼마나 많은 선택을 하는 지 말하지 않아도 충분하다. 알람이 울리는 순간부터 선택이니까.
그리고 대부분은 그 선택이 우리의 인생을 드라마틱하게 바뀌는 일은 잘 없다. 그냥 5분을 늦게 일어나는 선택을 하여 지각을 하거나 아침을 못먹어 점심시간까지 배가 고픈 고작 그 전도의 결말이 있을 뿐이다.
사실 중학생의 수학여행, 일생에 단 한 번이라고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아침부터 저녁까지 유명한 관광지를 영혼없이 몰려다니는 그저그런 여행이었다.
하지만 이건 해봐야 알 수 있는 것. 작은 선택이, 그로 인한 결과가 차곡차곡 싸여 지금의 내가 있듯 아이들에게 다양한 선택지가 주는 것이 어른이 할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 그렇다고 까만냥이처럼 음흉한 속내를 숨기고 모든 것을 준다고 유혹하지는 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