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보는 경제학 - 경제인이 되기 위한 깊고 맥락 있는 지식
이진우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2015년 6월 신간도서 / 경제서적 추천] 

거꾸로 보는 경제학


2015.06.25.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조금 아주 하드코어입니다

특히 저는 이제까지 경제서적을 거의 접해본적도 없고

경제라는 학문에 전혀 관심이 없어요



하지만 이번에 2015년 6월 신간도서로 "거꾸로 보는 경제학" 이 나와서

소개하기위해 들고 왔어요 저도 한 번 읽어보았습니다

똑똑해지는 경제상식! 재미있는 경제상식! 

"거꾸로 보는 경제학" 공부하러 갑시다!!!



잘못된 경제 상식으로 거꾸로 생각하셨습니다

우리는 경제 미생일까요? 아니면 완생일까요?

저는 완전 초초초초미생이라고 생각합니다

생각보다 우리 생활에 깊숙이 박혀있는 경제 이야기 한 번 들어보시겠어요??



"거꾸로 보는 경제학" 저자 분 소개입니다

서울대....ㅎㄷㄷ.....

타고난 경제해설가이시고 경제탐정이라고 불리시는 분이랍니다

저는 경제를 만화로 배워야 하나봐용 

경제에 관심 많으신 분들 주목해주세영!!!!



아항! 경제 분야의 지식에 접근할 때

그 어떤 생각, 누구의 주장이라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뒤집어서 생각해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답니다

경제 분야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해봅시다!



chapter 1 경제성장 이면의 어두운 진실

-경제는 계속 성장하는데 왜 우리는 점점 가난해지는가



우리나라 경우에만 봐도 경제가 계속 성장한다는 정부 발표와 경제적 수치, 통계가
나옴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 삶은 더 나아지지 못하고 더 힘들어지는걸까요??

이 문제의 답을 "거꾸로 보는 경제학" 을 통해 해결해봅시다




1954년 한국축구국가대표팀의 비애를 알고 계신가요?

정말 웃픈 에피소드였는데 저는 "거꾸로 보는 경제학" 을 통해 처음 읽어봤답니다

스위스 취리히에 가야하는데 국내에 노선이 없어서

군용기를 타고 일본으로 가고 일본에도 유럽 가는 비행기가 없어서

다시 방콕으로!! 와.... 방콕에서는 유럽가는 비행기가 있었는데 그 당시에 한국에는 없었다니 믿겨지시나요?



지금은 유럽 가는 취항노선이 엄청 많잖아요!!!!!

우리나라의 경제적 성장 및 나라 발전을 그렇게 짧은 기간동안 이룩하여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었다는 것이 믿기지가 않네요




소득 수준이 늘은 만큼 지출도 늘기 때문에

우리 서민들이 느끼기에 나라의 경제가 발전하고 있다고 해도

체감은 그러하지 못하다는 거죠....ㅠㅠ



경제가 극도로 고도로 성장하지 않는 한 원래 이럴 수 밖에 없다니

언제쯤 만족스러운 소득수준을 가지고 지출을 할 수 있는걸까요?



Chapter 2 당신이 지불하는 가격의 비밀

-소비자가 될 것인가, 호구가 될 것인가



이런 얘기 많이 하잖아요

 우린 현명한 소비자일까요 아니면 호구일까요???ㅠㅠㅠㅠ

아마...호구....같아요 저는....ㅠㅠ



왜 당신의 재테크는 실패하라 수밖에 없는가...

예전부터 서점에 가면 재테크 책이 널려있고 

요즘도 재테크 재테크를 해야한다고 하는데요

왜 사람들은 재테크에서 성공하기 힘든걸까요?ㅠㅠ



재테크와 물가 상승률, 경제 성장률 간의 셈법

솔직히 이해가 안 가긴 하지만 조금 이해도 가는거같기도 하고

여하튼 재테크의 실패하는 이유를 파악하면 재테크에서 성공하실 수 있지 않을까요??



현명한 소비자가 많아질수록 시장 역시 건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 같은 소비자들이 똑똑해져야 현명한 소비를 할수록

그만큼 좋은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것 같아요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공급자에 휘둘리는 경향이 많죠

하지만 시장은 소비자 중심이 되어야하고 소비자가 주도해야 합니다

공급자가 시장을 잡으면 안되죠잉ㅠㅠㅠ



Chapter 3  뒤집어야 제대로 보이는 국가 경제와 정책

-국가는 성적으로 말하고, 국민은 피부로 말한다



현대 사회의 경제 위기는 사실상의 재난이나 갑작스러운 재화의 부족으로 인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대중의 심리가 위축되면서 발생한다.

이 말은 너무 공감이 됩니다! 단적인 예로 요즘 메르스 사태를 보시면 아실 수 있죠

대중 심리 위축으로 인해 소비가 급감했죠ㅠㅠㅠ 우리나라 경제 흑....



Chapter 4 가상현실로서의 경제 VS 실재하는 일상

-경제 이론으로 인간의 삶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화폐 경제와 가상현실이 무엇이 다를까??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책처럼 이것이 정의롭냐 저것이 정의롭냐

선택하는 그런 상황들이 많이 나오잖아요

과연 생명의 가치는 돈으로 환산이 되는 걸까요



과연 생명에 가격을 매길 수 있는 건가요

이런 경우는 사회적 사건이나 이런곳에서 많이 발생하잖아요

9.11 테러 같은 경우에도 죽은 시민들의 목숨값? 이라는 걸 측정해서 주잖아요

과연 이렇게 고귀한 생명의 가치를 돈이라는 화폐단위로 매길 수 있는 걸까요?



하지만 우리는 알게 모르게 정의의 문제를 경제적 관점에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게 바로 문제라는거죠!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례를 통해 보는 재밌는 경제 이야기!

딱딱하고 무거울 수도 있는 경제학을 

쉽게 풀어 쓴 경제서적 "거꾸로 보는 경제학" 읽어보시와용!

적극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