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일곱 가지 이야기 - 1992년 제3회 아유카와 데쓰야 상 수상작
가노 도모코 지음, 박정임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디오에서 책소개 듣고, 재밌을것 같아 구입한 책.
일곱가지 이야기 속에 또 일곱가지 이야기가 존재한다.
정말 말로 표현할 수 없을만큼 재밌고 따뜻한 책이다.

두고두고 또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133.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한 하버드생의 핵심노하우
1. 시간관리를 철저히 하라.
2. 교수와 친해져라.
3. 다양한 강의를 골고루 들어라.
4. 과제물과 시험이 많은 강의를 택하라.
5. 스터디 그룹을 짜라.
6. 글쓰기에 주력하라.
7. 외국어를 공부하라.
8. 공부와는 무관한 과외활동에 몰두하라.
9. 문제가 생기면 말하라.

# 꿈 리스트, 사명과 비전, 목표

# [점심시간의 재발견] 정혜윤
# [퇴근 후 3시간] 나시무라 아키라
# [ 잠자기 전 30분] 다카시마 데쓰지

# 주말의 blue time 설정.

p197. 잊기위해 기록하는 것.
기록하고 잊어라. 안심하고 잊을 수 있는 기쁨을 만끽하면서 항상 머리를 창의적으로 쓰는 사람이 성공한다.

# 마인드맵

p269. 아무 책이나 읽어서는 안된다. 목적을 가지고 읽어야 한다. 지금 내가 하는 일과 관련되거나 앞으로의 비전과 관련되는 관심분야의 책을 70~80% 보아야 한다. 나머지 20~30%는 트렌드, 신간, 베스트셀러 등을 보면 좋다. 적용하지 않는 책 읽기는 시간 낭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43. 원시적 두뇌는 퀵픽스에 맞게 구조화되었으며, 이제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장기적 관점을 취하면 만족이 지연되는 것은 물론이고, 그런 만족을 얻으려면 엄청 열심히 노력해야 합니다.

p44. 이성의 가르침대로 행동하기 위해 자신의 기호를 다스리지 못하는 사람, 당장의 쾌락 혹은 고통의 끈덕진 요구에 저항하는 법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미덕과 근면이라는 진정한 원칙을 결여하고 있을뿐더러 그 어떤 것도 잘하게 되지 못할 위험이 높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무살 넘어 다시 하는 영어 - 성질 급한 당신이 원하는 최소 시간, 최대 효과 학습법
심정섭 지음 / 명진출판사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스무살 이후부터.. 영어는 늘 나에게 도전의식을 심어줬지만(그것도 새해에만 잠깐...ㅎㅎ), 여전히 영어는 제자리, 혹은 더 뒷걸음질 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책을 보니 내가 왜 그토록 영어를 못하는지 정확히 잘 짚어 써주셨다.
일단 난 영어에 대한 절실함이 없어서, 동기부여가 안된다.
이게 제일 중요한 원인이다.
일하면서 영어가 그리 중요하지 않으니..(쓸일이 아주 간혹 있지만, 못해도 바디랭귀지나 글로 다 됨..ㅋ)
그저 여행가서 외국인이랑 편하게 대화하고 싶다.. 정도로만 생각하고 시작하니, 별 성과가 없는 것 같다.

남편이랑 한 얘기지만.. 이제 점점 스마트해지는 세상이라서, 20년후면 통역사라는 직업도 없어질거라고 하니.. 영어공부 하지말까??ㅋㅋㅋ

읽고나니 영어공부보다는 내 전공공부에도 적용? 되는 부분이 있다.
일만시간의 노력..
그를 위해 일단 100시간만 돌파해보자는 내용.

나도 그렇게 100시간의 노력을 시작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70. 느낌표만 가득한 삶에 지치다.
다른 사람이 만든 창작물을 소비하면서 감탄만 하고 있는 삶에 나는 지치고 있었다. 내 삶속에 정작 내가 만든것은 없었기에 그렇게 공허하고 불안했던 것이다.

p158. 글쓰기의 시작, 메모리딩
책을 읽으면서 중요라다고 생각되거나 인상적인 부분이 있으면, 그 부분을 발췌하여 노트에 옮겨 적는다. 그리고 그 부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그 아래에 적는다. 이때 책에서 인용한 문장과는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다른 색상의 펜으로 쓴다. 책을 다 읽으면 책 전체에 대한 감상을 간략하게 한 문장으로 적어둔다.

p165. 메모리딩을 할 때는 책의 중요 부분을 저장해두는 것이 목적이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저자가 말하는 내용에 대한 나의 반응을 기록하는 것이 메모 리딩의 목적이다.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자. 머릿속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질문을 노트에 꼭 쓰도록 하자.
내 생각이 노트에 차곡차곡 쌓이면서, 생각을 드러내고 표현하고 싶은 욕구가 생겨난다. 즉 글로 표현하고 싶어진다. 메모리딩은 글쓰기의 시작이다.

p203. 행복한 관계를 오래 지속시키는 비결은 새로운 경험을 함께 나누고 서로가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 배우자와 함께하면서 새로운 것을 배우게 되는 일이 얼마나 자주 일어났는가?
- 배우자와 함께 살면서 당신이 얼마나 더 나은 사람이 되었는가?


인터넷에서 이 책의 평에 대해서 누군가 `기승전-블로그`라는 평이 있던데, 좀 공감되긴 한다.ㅋㅋ

배울점도 많고, 와닿는 멘트들도 있지만... SNS를 그닥 하지 않는 나로써는, 좀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긴 함.

그치만 글쓰는 꿈을 위해서는 어쩔수없이? 필요한 부분인 것 같다. ㅜ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