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 케이지 히메카와 레이코 형사 시리즈 2
혼다 테쓰야 지음, 한성례 옮김 / 씨엘북스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스트로베리 나이트'에 이은 혼다 테쓰야의 히메카와 레이코 시리즈, '소울 케이지'
살인사건을 직감과 행동력으로 풀어나가는 히메카와 레이코, 그녀가 다시 한 번 활약한다.
오로지 눈과 귀로 보고 들은 것만을 믿고 수사를 하는 쿠사카. 
전혀 다른 수사방법으로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그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경찰 소설처럼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치는 장르 소설을 볼 때마다 한 가지 의문이 떠오른다. 
이렇게 끔찍한 사건을 뉴스도 아닌 소설 책에서도 읽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오래 전부터 셜록홈즈를 비롯한 탐정소설이나 추리소설이 인기를 끌고 있는 걸 보면 단순히 재미 하나만으로 
이러한 장르소설이 유지되고 발전해 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 안에 인간에게 보내는 메시지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추리소설, 탐정소설, 경찰소설 등을 읽은 것이다.
그렇다면 '소울 케이지'의 주제는 무엇일가.
'소울 케이지'의 주제는 부성 즉 아버지 마음이다.
'스트로베리 나이트'에서 엽기 사건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평범한 주제를 레이코와 쿠사카의 대결 구도를 통해서 소설을 전개했다.
나는 히메카와 레이코라는 여주인공이 나오는 소설에서 '부성'을 주제로 잡았다는 점이 탁월했다는 생각이 든다.
레이코는 여성이기에 남자 특히 아버지의 마음을 쉽사리 알지 못했을 것이다. 이를 소설에서는 어떤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부성의 한 부분을 슬며시 제시해준다.
 
이 책에서는 사건에 중심에 있는 타카오카 켄이치라는 사람이 주제를 명확히 드러내준다.
레이코가 자신의 아버지를 떠올렸던 이유도 타카오카에게 부성을 느꼈기 때문이 아닐까.
책을 읽어내려가면서 나는 나의 아버지를 떠올렸다. 타카오카는 우리네 아버지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타카오카 켄이치가 거둬드린 미시마 코스케. 그는 친자식처럼 코스케를 키웠다. 오히려 친아버지가 아니기에 좀 더 이상적인 아버지의 모습을 그에게 보여주었다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로 그는 훌륭하게 아버지의 역할을 했다. 그래서 코스케의 눈에는 사랑받은 자만이 갖을 수 있는 눈빛이 있었다.

그에 비해 쿠사카는 제대로 아버지 역할을 하지 못한다. 철두철미하게 사건을 수사하며 실력을 인정받고 있지만 그는 일이 바빠서 제대로 집에 들어가지 못한다. 조금만 더 생각해 보면 잠깐 틈을 내서 집을 다녀올 수도 있지만 그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책 말미에 보면 쿠사카는 사고를 친 아들을 만나러 집으로 향한다. 사건이 종결되면서 시간이 나기도 했지만, 약간의 편법을 쓰더라도 아들을 만나러 가는 모습을 읽으면서 타카오카에게 느낀 바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본다.

자신을 희생하더라도 자식을 지키고 싶은 아버지. 힘든 짐을 자신이 떠안고 자식은 편하게 살기 바라는 아버지. 특히나 경제적인 부분에서 아버지들은 큰 부담을 지었을 것이다. 특히나 요즘 같은 시대에서는 더더욱 말이다. 그래도 정말 자식을 사랑한다면 곁에 오랫동안 있어달라고 그게 가장 큰 부성이라고 타카오카와 같은 아버지가 있다면 말씀 드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