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아홉에 폐경이라니
카를라 로마고사 지음, 성초림 옮김 / 딜레르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조기폐경으로 진단받는 여성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여성에게 생리란 무엇을 의미할까? 아마도 여성으로서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몸이라는 증거와 여성성으로서 중요하게 생각이 되는 부분일 것이다. 그런데 정상적으로 폐경을 맞이하는 것이 아니라 이른 나이에 폐경이 온다는 것은 상당히 감당하기 힘든 일일 것이다. 더욱이 아직 결혼도 하지 않고 출산도 하지 않은 여성이라면 더더욱...

이 책의 저자는 글로벌 향수 제조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커리어 우먼으로 서른아홉에 폐경진단을 받는다. 아직 결혼도 하지 않은 그녀가 이러한 진단을 받았을 때의 심경이란 어떠했을지 짐작이 간다. 아이를 낳을 수 없다는 좌절감과 이제는 더 이상 여성이 아니라 늙어가는 몸이라는 생각 등의 불안감과 당혹감, 분노가 생겼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감정들을 극복하고 희망을 붙잡기 위해서 여러 병원을 다니고, 호르몬 요법이라 던지, 중국 전통 의학과 운동, 서양고추나물 등을 먹어본다. 그리고 저자는 폐경이후의 여성들은 출산에서 자유로워지는 대신 창조적인 일에서 재능을 발휘한다고 말한다. 책의 부록에 있는 여성들, 남성들, 자기 자신, 식단, 정신 건강, 사회생활을 위한 조언들도 유익한 내용이었다.

우리에게 이렇게 조기폐경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저자의 글을 읽으면서 조기폐경을 어떠한 마음자세로 받아들이느냐에 따라서 삶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조기 폐경으로 고통을 받는 여성은 물론, 앞으로 갱년기를 맞이할 여성이라면 꼭 한번 읽어보기를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