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브앤테이크 Give and Take - 주는 사람이 성공한다
애덤 그랜트 지음, 윤태준 옮김 / 생각연구소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을 인이 세번이면 호구다"
명언 제조기 박명수 옹의 말씀이다. 이 통찰의 가르침처럼, 우리는 약육강식이니 승자독식이니 하는 용어에 익숙해진 지 오래다. 하지만 베풀면서 사는 인생이 오히려 성공한다는 독특한 주장을 하는 책이 있다. 마하트마 간디나 테레사 수녀님 류의 정신승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책에서 말하는 승리는 세상에서 말하는 세속적 승리, 즉 부와 출세다.

책에서는 세상을 세 가지 부류의 인간으로 나눈다. 매처, 테이커, 그리고 기버다. 매처는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유형으로, 받는 만큼 베푼다 라는 원칙으로 움직인다. 테이커 는 취하기를 주로 하는 유형으로, 때때로 기버처럼 베풀기도 하지만 이는 철저히 이 베품이 자신의 이익으로 돌아올 것이라 예상할때뿐이다. 반면 기버는 주로 베푼다. 베푸는 자원에는 자신의 재능, 시간, 재산 등등 모두가 포함되어 있다. 

책의 저자는 각 회사에서 매처, 테이커, 기버 가 각각 얼마나 출세했는지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회사의 하층을 형성하는 것은 기버였다. 이들은 회사 평균보다 수입이 10~20% 낮았고, 직급도 낮았다. 주로 베푸는 입장이니 자기 잇속을 챙기는 매처나 테이커보다 못나가는 것은 당연해보인다. 하지만 주목할 부분은, 회사의 최상층을 차지하는 것도 기버였다는 뜻이다. 

사실 베푸는 활동은 인간 본연의 행복과 관련이 있다. 서인국 교수님의 '행복의 조건'에 따르면, 인간이 가장 행복할 때는 타인과 교류할 때라고 한다. 테이커로서 착취만 하면 타인과의 관계는 점점 줄 것이다. 매처는 자신에게 오는 사람과만 교류가 가능하다. 반면 기버는 모두와 교류가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테이커나 매처는 이득, 혹은 손해보지 않기에서 행복을 얻지만, 기버는 행동 그 자체에서 행복을 얻게 된다. 때문에 테이커나 매처보다 더 순수한 동기가 부여되고, 결과적으로 더 지치지 않고 왕성한 활동을 하게 된다. 재밌는 것은, 기버들이 오히려 자신의 기버적인 성향을 감추고 싶어했다는 점이다. 이들은 회사에서 보기에 자신들의 모습이 나약해보이지 않을까 걱정했다. 이런 것을 보아도, 이들의 기버 활동의 동기는 타인의 평판보다는 스스로의 행복 때문이라는 것이 명확해진다.

SNS의 발달은 앞으로 기버에게 더욱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SNS가 발달하면서 테이커는 그 정체를 감추기가 더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반면 기버는 그 평판이 과거보다 훨씬 빠르게, 널리 확산된다. 

다만 기버는 최하층도 차지한다는 것을 염두해야 한다. 기버로서 최상층과 최하층을 가르는 것은 기버가 지치지 않는 것과 관계있다. 지치지 않기 위해, 기버는 자신이 베푸는 활동에서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 그 피드백이 기버의 에너지원이기 때문이다. 또한, 테이커를 구분해내어 그들에게는 베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즉 테이커를 상대할 때는 매처처럼 행동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제까지도 베풀면 행복해진다는 류의 이야기들은 많았지만, 이들 이야기들은 자칫 정신 승리라는 오명을 쓸 수 있었다. 반면 이 책은 '베풀어야 성공한다'라고 주장하며, 그 근거도 매우 논리적이고 탄탄하다. 이 책의 저자가 테이커만이 성공할 것 같은 나라 미국의, 테이커만이 살아남을 것 같은 경영대학원(와튼 스쿨)의 교수라는 것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