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아이의 사춘기가 두렵다 - 십대 아이와 이대로 멀어질까 두려운 부모에게
조덕형 지음 / 경향BP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사춘기 자녀가 있기는 커녕 미혼인 여성이다.

뉴스에서나 요즘 한창 하고 있는 예능 '동상이몽'에서 사춘기 자녀와 부모들의 갈등이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각함을 느끼고 있을 때쯤, 지금의 현상을 잘 나타내고 있을 법한 이 책을 읽고 싶었다.

제목만 봤을 때 여성 작가가 같은 엄마의 입장에서 쓴 책인줄 알았는데, 

학생들을 올바르게 지도하는 남자 목사님이 지은 책이라 의외였다.  

그래서 그런지 목사님이 교회 다니는 집사님들을 모아 '자녀교육은 이렇게 한다.'라는 설교를 하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그리고 나는 사춘기 자녀를 가진 부모의 고충을 이해하고 위로해주는 책이길 바랬는데,

당신들도 사춘기 때 이랬으니, 당연히 이해하고 참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전부라 조금은 실망했다.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내가 미혼이고 자녀가 없기 때문에 더 공감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그래서 주변에 사춘기 자녀들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 분들께 이 책을 선물로 드릴려고 한다. 

혹여나 내 리뷰를 보는 사람들을 위해서 이 책에서 알려주는 노하우를 알려드리겠다(?)


-


1.아이와 함께 부모도 성장한다. 부모는 사춘기 아이에게 모범 어른이 되어야 한다.
2.부정적인 면만 찾으려 하면 부정적인 면만 보인다. 긍정적인 면만 바라보도록 노력하자.
3.부모의 소소한 일상들이 모여 아이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
4.자신의 사춘기를 떠올려보고 아이와 공감대를 형성해보자.
5.아이의 시간은 한 번 흘러가면 되돌릴 수 없다.
6.나를 죽이고 아이를 살릴 것인지, 내가 살고 아이를 잃은 것인지 그 선택이 부모와 아이의 삶을 바꿀 것이다.
7.부모 중 어느 한쪽이라도 상황을 이해하고 컨트롤하면 문제는 수월하게 해결된다.
8.결심을 말로 옮기면 행동은 따라간다. 이것이 말의 힘이다.
9.오직 아이에게 쏟던 관심을 나에게 전환해
보자. 사춘기 아이와의 갈등은 줄어들고 관계도 좋아진다.
10.함께 보내는 시간이 쌓이면 어느새 부모와 아이는 속마음을 나누는 친구가 된다.
11.조금 벅찰 수 있겠지만 아이를 위해 작은 것부터 시작해보자.                  
12.아이를 인정하고 존중할 때 중2 전쟁의 승자는 부모와 아이 모두가 된다.
13.아이를 지지하면 아이의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14.대부분의 아픔은 사람의 관계에서 찾아오는 경우가 다반사다.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재를 존중하자.
15.사춘기 자녀, 갱년기 부모 서로 성장하고 성숙하기에 좋은 시기가 아닐까?
16.서로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자신의 이야기를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들어주는 자세이다.
17.아이가 초등학교 4학년이 되면 정직하게 가정의 경제 형편을 알리자.
18.당신은 움추리기보다는 활짝 피어나기 위한 존재입니다.
19.사랑이 아니고서는 먹을 것도 주지 마라. 그 음식을 먹고 아이가 죽을 수도 있다.
20.봄은 짧지만 사람을 설레게 하는 매력이 있다. 사춘기가 주는 매력을 느껴보자.
21.촉을 세우고 아이에게 마음을 열면 허세로 감춘 아이의 메세지를 알 수 있다.
22.아이의 성취에 기뻐하는 부모의 모습은 어떤 인센티브보다 아이에게 힘을 준다.
23."지금 잘하고 있어.", "잘 가고 있어."
24.아이가 홀로서기를 준비할 때 부모는 아이의 페이스메이커가 되어야 한다.
25.덩치는 산만 해도 여전히 아이는 부모의 사랑을 필요로 하는 존재다.
26.현재의 내 모습에서 내 아이의 미래 모습을 볼 수 있다.
27.아이와 대화하기 전에 상처받지 않겠다는 각오를 먼저 하자.
28.아이들은 선을 자꾸 넘으려 한다. 그러할지라도 끝까지 가지는 말자.
29.지금 당장 아이에게 가슴 뛰는 말을 하자. 안 듣는 척해도 다 듣고 있다.
30.아이를 비난하고 조롱하기 전에 '왜 저렇게 반응할 수밖에 없나.' 깊이 고민해보자. 그 해답은 부모가 가지고 있다.
31.말만 앞서서는 안 된다. 행동으로 보여주자.
32.자신의 이야기를 듣지 않는 부모에게 아이는 입과 함께 마음까지 닫아버린다.
33.아이를 사랑하는 데에는 올바른 가치관과 절제된 행동방식이 필요하다.
34.사춘기는 아이와 함께 부모도 성장하는 시기다.
35.아이의 마음을 열기 위해서라면 어설픈 개그로 망가지는 용기가 필요하다.
36.해줄 수 있는 것과 해줄 수 있지만 해주지 않는 것을 분간하라.
37.아이를 위해 얼마나 눈물을 흘리셨나요?
38.문제의 근원은 물질이 채워지지 않아서가 아니라 마음, 즉 영혼이 채워지지 않는 데 있다.
39.사춘기 아이를 이끌기란 생각만큼 쉽지 않다.
40.드넓은 세상에 아이를 계획적으로 던져보자.
41.부모는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가 잘 이겨내고 한층 더 성숙한 인간이 되기를 소원한다.
42.부모의 신뢰와 지지를 얻은 아이는 결코 무너지지 않는다.
43.부모가 보여주는 열정, 자기희생, 절제야말로 사춘기 아이에게 줄 수 있는 효과 있는 가르침이다.
44.아이들은 내 뱃속에서 나온 인간이다. 괴물은 괴물에게서 태어난다.
45.우리 아이들은 아직 살아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