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달로 가는 길 - 오래된 IT와 새로운 인문학의 사상 첫 대화가 시작된다
편석준 지음 / 레드우드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현재 IT사회에 대해 저자의 생각을 들려주는 책이다. 서로 접점이 별로 없을 것 같은 IT와 인문학을 기발하게 결합하여 재미있게 설명한 점이 돋보인다. 현재 우리가 흔히 쓰는 카카오, 라인, 페이스북, 트위터 등 메신저, SNS가 어떠한 경위로 등장하게 되었고,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을 대하는 사회와 사람들의 반응, 앞으로의 예상 변화 등 매우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을 한다. 또한 IT사회의 여러 컨텐츠와 플랫폼의 앞으로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저자의 냉철한 분석, 사람들이 그 안에서 보여주는 유행 현상들의 대한 심리적인 분석 등도 매우 볼 만한 대목이다. 우리가 별 생각 없이 편리함만 보고 카카오든 페이스북이든 사용한다고 봤는데, 실상은 우리 스스로도 모르는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IT기업들은 그러한 현상을 철저하게 파고들어, 가장 소비자 욕구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플랫폼과 컨텐츠를 만들어온 것이다. 그것을 알고 이용하는 것과 모르고 이용하는 것에는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밀려드는 정보와 컨텐츠의 파도 속에서 내 주체를 확실히 지키면서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저자는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인용문을 사용하였다. 고대 철학자부터 현대 소설 저자까지, 풍부한 인문학적 지식을 적절히 인용하여, 이야기가 지루할 틈 없이 쉽고, 재미 있고, 설득력 있게 생각을 전개한다. 평소에 깨닫지 못했던, 단순한 행동과 유행을 둘러싼 사람들 내면에 숨겨져 있는 심오한 심리 요소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건 결국 자신에 대한 이해라고도 할 수 있다. 모든 인문학의 목적이 결국은 사람에 대한 이해인 것처럼, 이 책은 IT라는, 현재 사람들과 가장 밀접한 매체를 통해서 더욱 현실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IT환경은 앞으로 더욱 우리의 생활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런 만큼 이 책은 현재 우리가 어떠한 자세로 이 변화를 받아들이고 이용해야 하는지, 어느정도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SNS,메신저 등의 역사, IT업계의 흐름, 다양한 인문학적 지식, 모든 현상 이면에 담긴 심리적 사회적 배경 등 당장 현재의 변화와 우리들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정보들이 많다. IT와 인간의 그 오묘한 관계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볼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