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지음, 안정효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 세계의 모습을 꽤 현실적으로 그려낸 소설이다. 모든 인간이 수정관 상태에서, 계급과 적성이 정해지며 그에 걸맞는 약품 처리 과정과 최면 훈련 등이 이루어진다. 처음부터 정해진 자신의 계급과 능력에 최대한 만족하도록 심리적 훈련 과정을 철저하게 하여, 누구든 불평 불만 없이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고 매우 안정적인 생활과 행복을 느낀다. 게다가 결혼 제도가 없으며 자유분방한 성생활까지 장려되는 사회다. 즉, 부자와 가난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완전히 없앴으며, 애초에 부여된 능력에 따라 분수대로 살아가면 되니, 승진에 대한 스트레스도 없다. 그야말로 멋진 신세계인 것이다. 하지만, 그와 완전히 대조되는 야만인 구역이 있다. 여기는 옛 전통을 그대로 가지고 살아가는, 인디언부족과도 같은 삶을 살고 있다. 그 야만인 부족 중 한명이 문명 사회에 발을 들여놓게 되면서 이야기는 절정을 향해 내달린다.

야만인의 눈은, 바로 우리들이 독자들의 눈이나 다름 없다. 야만인이 문명사회에서 벌어지는 온갖 부조리한 현상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독자들의 감정을 그대로 대변한다 할 수있다. 모든 것이 평화로운 세계,,,하지만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한, 그저 평화를 가장하기 위한 엄격한 통제에 불과한 세계. 비록 심리적, 육체적 고통을 거의 안 받는다 해도, 자신이 진정 원하는 삶을 꾸려나갈 수가 없는 인생이 과연 행복하다고 할 수 있을까. 개인을 자유와 꿈을 우선하는 사회가 아닌, 철저하게 사회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그저 기계 부품과도 같이 탄생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인간들,,, 야만인은 자신이 동경해왔던 문명세계에서 벌어지는 부조리함에 결국 적응에 실패하고 만다.

이 책은 시종일관, 인물들의 대화를 통해 인간의 행복, 꿈, 존엄성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과학 기술을 악용하여 인간을 철저하게 통제하고, 사회의 유지에만 신경을 쓰는, 그것이 마치 개인의 행복에 직결되는 것처럼 교묘하게 사람들을 세뇌시키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그 반대심리로 인간이란 존재는 과연 무엇이고, 어떨게 살아야 인간다움을 유지하는 것일까 라는 끝없는 물음을 상기시켜준다. 태아 때부터 사고 능력을 조절당하여, 강제적으로 행복을 느끼며 살아가는 것이, 아무리 인간사회를 분열없이 유지하기 위함이라고 하지만, 각자의 개성이 완전히 무시당하는 사회가 과연 발전할 여지가 있을까. 인간은 결국 자유를 추구하는 존재. 불편을 호소하는 주인공의 등장도 결국 같은 맥락일 것이다. 전혀 역동성 없이 한없이 정체되어 있는 사회에서, 자유와 자아실현에 대한 인간의 본성이 점점 고개를 드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멋진 신세계는, 우리가 미래에서도 진정 자유와 존엄성을 지키며 스스로의 의지로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어떤 사회를 이루어야 하는지, 어떤 사상과 구조를 피해야 하는지 그 단서를 제공해주는 의미 있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