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자의 영화관 - 그들은 어떻게 영화에서 경제를 읽어내는가
박병률 지음 / 한빛비즈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경제학이 전공이긴 하지만, 대학때 워낙 다른일(?)에 심취해서 전공공부를 등한시 했긴 하지만,

경제학 원론 / 미시경제학 / 거시경제학의 기본틀은 4학년이 되어서야 약간 관심을 갖기 했던 기억이 있다.

경제학 원론에 나오는 내용중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 '희소성' 과 소비자 이론의 하나인 '한계효용' 에 관한 개념이다.

특히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은 주로 빵이이야기로 예를 들곤 한다.

하나의 빵을 먹었을 때, 가장 큰 효용을 가지고 점점 그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이야기.

이 책에서는 영화를 주제로 다소 어려운 경제 이론을 쉽게 풀어내고 있다.

'라푼젤'에서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한계효용' 의 개념에 적용하고 있다.

사랑의 한계효용기간에 대해 흥미있는 예시와 함꼐 들고 있는데,

과학적인 것으로 볼때 사랑의 한계효용은 1년이 지나면 50% 정도 감소한다고 한다.

이 이론데로 라면 모든 연인은 헤어져야 하는 것이 맞다.

한계효용이 시간이 가면 갈수록 체감하여 부(-)에 다다르면 헤어져야 하는것.

하지만, 이에 더하여 매몰비용. 즉 이별이라는 선택을 할때 새롭게 발생하는 '비용과편익'이다

계속만나는 것보다 헤어지는게 편익이 크다면 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결혼은 좀더 복잡한 경제관계가 발행하기도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다보니 '사랑'까지도 경제적 관점에 따라 움직이는 부분이 아쉽기도 하지만,

경제학적 개념에 좀 더 다가가서 살다 보니 현실적 판단의 모든 잣데가 그것으로 움직인다.

좀더 가볍게 경제학을 접근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