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 뇌과학과 임상심리학이 부서진 마음에게 전하는 말
허지원 지음 / 홍익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부터가 아주 멋지다.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이 책은 최신 뇌과학 연구에서 밝혀진 과학적 근거와 다양한 임상심리 사례들을 통해 높고 낮음을 반복하는 자존감의 덫에서 벗어나고, 조각난 마음을 토닥여줄 과학적인 위로의 기술을 전한다. 저자는 우선 뇌과학자의 시선으로 정신적 고통의 원인을 친절하게 설명하면서 정신적 상처가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어떻게 해야 뇌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지 등 감정과 사고의 신경생물학적 작용 원리를 쉽게 풀어낸다.

각 챕터별로 사례를 제시하고 그 사례에 따른 처방법을 제시한다.

무거운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처음 책을 잡고 끝까지 읽게 만드는 마력과 함께,

술술 책이 읽혀져서 흥미로운 책이였다.

 

이 책은 최신 뇌과학 연구에서 밝혀진 과학적 근거와 다양한 임상심리 사례들을 통해 높고 낮음을 반복하는 자존감의 덫에서 벗어나고, 조각난 마음을 토닥여줄 과학적인 위로의 기술을 전한다. 저자는 우선 뇌과학자의 시선으로 정신적 고통의 원인을 친절하게 설명하면서 정신적 상처가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어떻게 해야 뇌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지 등 감정과 사고의 신경생물학적 작용 원리를 쉽게 풀어낸다.

 

'당신의 과거는 당신의 미래가 아니에요'

미래에 대해 용기를 듬뿍 주고 있다. 가장 압축적이고 감명깊게 읽은 부분을 소개 한다.

"냉정하게 말해서, 우리는 언제 생을 마쳐도 이상하지 않을 각자의 궤적을 삽니다.

매일을 쾌락적으로 살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나만큰은 내게 관대해져도 좋습니다'

-제3부- 완벽주의적 불안에 휘들리지 말것

오늘을 신나게 살아냄에 대해 자기 자신에게 과한 칭찬을 할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그렇게 하루하루가 행복하면, 결국 행복할 삶이 아닌가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