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위한 인문학 - 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노은주.임형남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가들의 집 그리고 사람 이야기, [집을 위한 인문학]

 

하루의 일과를 마치고 돌아가는 곳, 가족들이 기다리는 곳. 각자 조금씩 다른 사정과 이유가 있겠지만 이란 존재는 대체로 우리에게 그런 곳이다. 그리고 그런 에서 우리는 일상의 안식과 평화를 종종 기대하며 들어선다. 부부 건축가인 두 저자가 집 이야기를 풀어놓은 [집을 위한 인문학]은 부제에도 잘 나와 있듯, ‘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에 대해 건축가의 시선, 혹은 평범한 사람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생각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져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가족’, ‘사람’, ‘자연’, ‘이야기와 집을 연결 지어 살펴보고 있다. 틈만 나면 집을 찾아 답사를 떠난다는 저자들이 답사 중에 찍은 소중한 사진들을 책에 살뜰히 실어놓은 덕분에, 독자들은 글을 읽으며 사진을 보며 그들의 집 이야기에 한층 몰입도를 올려갈 수 있다. 넉넉한 여백, 그리고 사진이 더 생생하게 느껴지도록 올컬러로 구성되어 있는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

책에 실린, 수많은 이야기가 담긴 여러 집 중에서도 특히 눈에 띄는 것은 강원도 원주에 지었다는 어떤 부부의 집이다. 저자들은 주거인의 요구에 따라 각각 서양식과 한식 공간을 지향하는 등 둘의 개성이 뚜렷한 점을 반영하여 남편채와 부인채를 따로 만들었다고 본문에 밝힌다. 이 집의 경우 가족 간의 일정한 거리와 각자의 영역 확보가 큰 줄거리였다는 코멘트가 달려 있어, 앞으로 우리의 주거 문화가 변해갈 방향을 넌지시 암시하는 듯 하다.

 

책에는 이렇듯 집에 대한 철학과 그에 못지않게 수많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 함께 살고 있지만 각자의 공간을 두며 공존하는 사람들, ‘따로 또 같이하기 위해 그렇게 만들어진 집의 이야기를 현대는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일상의 집뿐만 아니라, 경복궁과 창덕궁 등 옛 건물들에 대한 고찰도 실려 있어 지금까지 몰랐던 점들을 건축인의 시선에서 생각해볼 기회도 주어진다.

읽다 보면 어느새 내가 그들과 함께 저기 한적한 어딘가를 걷고 있다. 그리고 도란도란 집 이야기도 나누고 있다. 신기한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