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과 편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8
제인 오스틴 지음 / 민음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을수록 몰입감이 더해져 마지막 부분을 읽을 때는 마치 내 주변에서 일어난 일을 지켜보듯 흥미진진했다.
작품을 다 읽고 엔딩에 흡족해하며 흥미진진한 연애 소설 한 편을 읽은 듯 하다며 만족했다.
그러나 뒤에 나오는 작품 해설을 읽고 남녀간의 단순한 사랑만을 다룬 얘기가 아니고 ‘그 시대의 가치관을 보여주기 위해 치밀하게 짜인 이야기이구나‘ 하며 깨달았다.
단순히 나의 마음을 설레게 해주었던 작품이라고만 생각했던 내가 부끄러웠다.

사랑과 결혼에 대한 전통적인 가치관(외적 조건)과 근대적인 가치관(개인의 성품과 선택)이 충돌하는 시기에 쓰인 작품이다.
그런 것을 염두에 두고 이 작품을 바라보았을 때 왜 작가는 그런 등장인물들을 작품에 심어놨으며(막장드라마에서처럼 단순히 자극적인 요소로 독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가 아니다)
그런 인물로 우리들한테 무엇을 보여주려고 했는지를 느낄 수 있었다.
한 시대 속에서 각기 다른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의 선택이 이제야 명확히 구분된다.

현대에 사는 나로서는 이 당시의 연애가 너무 답답하게 느껴졌다.
차라리 리디아의 일이 속이 시원했을 정도이다.
그래도 이 당시 남녀의 감정 교류를 바로 옆에서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던 것 같아 재밌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