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하는 어린이 4 : 규칙과 비례 - 개념과 원리에 강한 개념과 원리에 강한 수학하는 어린이 4
전연진 지음, 김원희 그림 / 스콜라(위즈덤하우스) / 2015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처음 접하게 되었을때 다른 책처럼 수학을 너무 쉽고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너무 자세히 설명하여 아이가 너무 시시해하거나 거부감을 가지면 어쩔지 걱정했읍니다.

하지만 그건 기우라는 걸 알게되었지요.

이 책은 ​초등 수학에 나오는 개념과 원리를 문제와 이야기로 쉽게 접근하여 아이들에게 수학은 어려운것이라는 고정관념을 없애는 수학 교양서라는 느낌을 받았읍니다.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고민하면서 한줄 한줄 읽어나가면 마치 추리소설을 읽는듯 재미에 빠지면서 그 문제에 포함된 개념과 원리가 머리에 쏙쏙 들어오네요. 초등학교 3학년인 아이가 홈스쿨로 하는 수학, 창작 가베 시간에 배운 내용이 많아 물어보면 이미 아는 내용이라고 저에게 오히려 더 설명해주기도 했어요. 아이와 함께 한번 더 정리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읍니다.


이 책은 수학하는 어린이 시리즈 4권으로 규칙과 비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총 18 가지 문제로 이루어져 있어요. 우리가 살고 있는 자연환경, 문화환경, 일상생활속에서 흔히 보거나 발견하거나 접할수 있는 규칙에 대하여 알려줍니다. 어렵기만 하는 수학의 규칙성을 우리 실생활과 자연현상에서 알려주니 금방 이해가 되고 어렵지가 않네요. 또한 아는만큼 보인다고 패턴의 과학인 수학의 규칙성을 모르면 알수 없었던, 모르고 지나쳐버렸을 여러 사실들을 알게 해줍니다. 이젠 아이가 주위 환경을 그냥 지나치지 않고 수학적 사고로 꼼꼼히 살펴볼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것 같아요.


다양한 규칙이 숨어있는 파스칼 삼각형입니다. 아마도 아이들 난이도가 있는수학문제를 풀이하다보면 한번쯤은 보았을 삼각형일거에요. 그때는 유추해서 알고 있었던 규칙들이 자세히 살펴보니 한가지가 아니라 완전체 삼각형이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여러 규칙이 숨어있어 놀랐읍니다. 아이는 알고 있는 내용이라 속으로 반성했네요.


2주전 아이 수학, 창작 가베 홈스쿨 시간에 배운 스키테일 암호네요. 아빠가 퇴근하자 아이가 이게 무슨 말인지 알아요? 하면서 보여주었던 그 암호문 ㅋㅋ.

암호를 풀기위해서 같은 원통형 막대가 있어야 하지만 건너띄는 규칙을 찾아내면 막대 없이도 해독할수 있다는것을 알았어요.  수업후 자신만의 암호를 계속 만들던 아이가 책을 보고 더 신나서 암호 만들기에 집중하네요.



흔히 TV 프로그램에서 서양미인, 동양미인 언급하면서 항상 나오는 비율, 바로 황금비, 금강비입니다. 황금비를 기록으로 남긴 사람이 피타고라스이며 정오각형안의 별이 황금비를 이룬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어요. 황금비와 금강비는 건축물, 예술품, 장식품, 생활용품 등에서 쉽게 찾아볼수 있군요. 유명한 건축물이나 예술품은 이런 비를 유지하고 있어서 우리에게 사랑받고 찬사를 받나보네요. 역시 아이가 황금비, 금강비 건축물, 예술품 예을 물어보니 척척 맞추어내는군요.


18가지 문제의 개념과 원리를 알고 나면 책 뒤편에 신기하고 재미있는 규칙과 비례놀이가 3가지나 있읍니다. 아이랑 오랜만에 마장진 만들기를 해보았어요. 그리고 그 안에 숨겨진 규칙도 한번 더 공부해보구요.

흔히 수학을 어려워하는 아이들은 어려운 수학을 배워서 무엇에 쓰는지 모르겠다고 하며 수학을 경시하는 어른들도 쓸데없는 수학이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최근 문이과 통합의 이슈가 고등학교에서 수학 II를 배워야 하는지, 대학에서 전공으로 선택시 배울시 있는 어려운 미분, 적분을 배워야 하는지 갑론을박했었읍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어보니 학년이 올라갈수록 다양한 숫자와 기호로 가득한 수학문제를 접하며 점점 수학을 지루해하고 어려워하는 아이들에게 초등학교부터 그 기본이 되는 개​념과 원리를  일상생활과 따로 떨어진 내용이 아니라 우리 주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만날수 있는 내용이며 이를 통해 얻어진 수학적 사고가 다양한 문제해결 및 실생활에 도움이 됨을 알려주고 싶네요. 이런 수학은 쓸데없는것이 아니며 이런 생각으로 개념과 원리를 배워간다면 점점 어려워지는 고학년 수학에도 지루해하거나 어려워하지 않을거라 자신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