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엔 아무것도 없어 1 - 버리기 마녀의 탄생
유루리 마이 지음, 정은지 옮김 / 북앳북스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즘 하도 미니멀 라이프 책을 읽어서 그런가...내 방에 알록달록한 색이 있는 물건이나 가구색과 안어울리면 기분이 나빠진다. 


2.

 가끔 생각나지 않나? 버리거나 팔아야 할 물건이 떠올랐는데, 막상 집에 가서 맨손으로 만질 때면 애덤 스미스가 말한 '보이지 않는 손'이 물건과 나를 끌어당기는 그런 느낌? 그러다가 물건의 갖가지 용도가 떠오르거나 그 자리에 있는 게 자연스럽다며 다시 갖다 놓는 것. 버리기가 은근히 용기가 많이 필요하다.


3.

 내가 가장 바꾸고 싶은 집은 바로 우리집이다. 그 중에서도 벽 한면을 채우는 내 책들을 팔고 싶은데, 과연 내가 그것들을 버릴 용기가 막상가서도 생길려나 모르겠다. 완전힌 아니더라도 일부만 남겨놓는다는 식의 결과가 뻔하다.


4.

 기억해야 할 건 버리고 나서 후회하는 일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아니면 바릴까 말까 고민되는 물건이 있다고 치자. 그러면 그 물건을 일주일간 안보이는 곳에 보관해라. 그럼 판단이 확고해진다. 지난번에 나는 몇 십권이나 되는 내 손 때묻은 만화책을 버리기 위해 많은 용기가 필요했었다. 보관해두면 보고 싶을 때마다 볼 순 있어서 후회는 조금 했었다. 그런데 아주 조금이었다. 오히려 짐을 덜어내고, 내 본연의 모습을 되찾는 느낌이었다.


5.

 수납공간은 언제나 실체로만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 내면 속에서도 그 물건에 대한 수납공간이 존재한다. 만약 물건이 차고 넘치면 우리 내면의 공간은 발 붙일 곳이 없게 되버린다. 공간에 여유가 없으니 계속 그 물건들에 대해 신경쓰이게된다. 물건을 제 값으로 주고 샀다고 해도, 그게 끝이 아니다.


 물건 구매 = 물건을 산 시간 + 물건을 사용하는 시간 + 물건을 버리는 시간

 의 공식을 기억해야 한다. 미니멀라이프를 추구한다면 최소의 필수품만 보관하여 물건보다는 나 자신에게 집중하고,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늘려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