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책읽기가 힘들까? - 당신의 편견을 깨는 생각지도 못한 독서법
도야마 시게히코 지음, 문지영 옮김 / 다온북스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서평을 쓰는 블로거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바로 포스트 하나를 쓰는 데 읽는 데 몇 시간이나 걸리는 책 한 권을 읽어야 한다는 점이다. 포스팅은 가급적 많이 쓰고 싶은 데 책 읽는 것은 그것보다 더 걸린다. 그렇다고 인터넷에 널려있는 서평을 베끼면 그건 서평블로그를 운영하는 의미도 이익도 없다. 이 책은 이런 고민을 안고 있는 블로거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2.

 이 책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바는 '망각'이다. 혹시 외우려고 책을 읽은 적이 있는가? 만약 그랬다면 십중팔구 그 독서는 재미가 없었다고 단언한다. 활자 하나하나를 의식적으로 외워서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인가? 만물의 이치를 설명하는 완벽한 책이 있다면 몰라도 아쉽게도 책은 불확실한 인간이 생물이 만든 발명품이다. 때문에 책은 일부러 외우려고 읽지 않아도 된다. 다시 읽지 않아도 된다. 메모하며 읽지 않아도 된다. 그게 이 책에서 주장하는 바다.


3.

 글쓴이는 세렌디피티를 일으키기 위해 아무거나 닥치는 대로 빠른 속도로 읽는 '난독'을 주장한다. 세렌디피티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공통점을 찾아내는 것으로, 주로 창의적 발상이 요구되는 직종에게 필요한 능력이다. 프랭클린은 뇌우치는 날씨 속에서 '전기'라는 발견을 했고, 뉴턴은 평범한 사과나무에게서 '중력'을 발견했다. 그밖에도 현대의 삶을 주축하는 발명품들엔 예상치 못한 것들에게 우연히 공통점을 찾아내는 능력, 세렌디피티가 이루어진 것들이 많다. 아니, 오히려 다 그렇다고 봐야 한다.


4.

 재미있는 부분만 읽고나서 찝찝하지도 말랜다. 책을 끝까지 완독해서 그 책을 비로소 다 읽은 것은 절대 아니다. 하나하나 외우지 않는 한 그건 영원히 불확실한 독서기 때문이다. 작가는 망각의 기능을 위해 책이 재미없으면 읽지말라고 권한다.


5.

 메타볼릭 증후군, 일명 내장지방 증후군으로 원푸드 다이어트 한답시고, 똑같은 것만 먹어대면 영양실조가 되고, 병이 된단다. 책도 한 분야만 과식하거나 같은 책은 재독하지 말랜다. 지금 1인 출판시대로, 매일 새 책들이 쏟아지고 있는 판국에 같은 책은 다시 읽는 것은 너무나도 큰 사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