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하고 아름다운 삶을 위하여 - 김형석 교수의 신앙과 인생
김형석 지음 / 두란노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하고 아름다운 삶이란 과연 무엇일까?

무한경쟁시대에 선하고 아름답게 산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김형석 교수님은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방에 고독이라는 병으로 처음 만났다. 무엇을, 어떻게 라는 질문 앞에 서 있던 나에게 삶의 지표가 된 책이다. 이후로 몇 권의 책을 더 읽으며 내 삶의 방향을 잡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제 선하고 아름다운 삶을 위하여라는 책을 읽으며 참 신앙, 하나님이 기뻐하는 믿음의 삶은 어떤 것일까에 대하여 생각하게 된다. 신학을 공부한 것도 아니고 장로나 목사가 아닌 사람이 성경을 가르치고 부흥회를 인도했다는 것이 놀랍다. 성경공부나 부흥회는 당연히 목사님이 인도하는 것이라 생각했던 나에게 김형석 교수님이 중학교를 졸업한 이후 말씀공동체를 이끌고 복음을 전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무엇보다도 60년 동안 말씀 공동체를 이끌어가면서도 한 번도 그것을 조직화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다시 한 번 놀라게 된다. 몇 사람이 모이면 먼저 조직을 구성하고 조직을 확장시켜 나가기 위해 애쓰는 일반적인 모습과는 너무나 다르다.

 

말씀 공동체는 조직을 꼭 필요로 하는 것도 아니었다. 60여년이 지났으나 나는 한 번도 조직을 만든 일은 없었다. 필요한 것은 사회자와 내가 말씀을 전하는 일이면 된다. 사람들은 소속감을 갖기 원한다. 조직을 잘 운영해 가면, 많은 수가 모일 수도 있고 그 수를 조직화하면 발언권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60여 년 동안 그런 일은 한 번도 없었다. 말씀을 나누고 깨닫고 각자가 실천하면 되는 것이다. 그것은 회원들에게 무책임한 것이 아니며 모이는 분들과 말씀을 나누는 이들에게 더 많은 자유와 선택과 교회 봉사의 길을 돕자는 뜻에서 그런 것이었다.

172-173p

 

교회직분을 직위로 착각하는 사람들과 진리보다는 교회주의와 교리에 매여 신앙생활을 하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교수님은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교훈이 우리의 인생관과 가치관이 되고, 그 뜻대로 사는데 있다. (183p)고 말씀하신다. 교수님은 교리보다는 진리를 추구했고 교회주의와 더불어 성경주의를 택했고 교회보다는 하늘나라에 관한 역사적 관심이 더 컸기 때문에 개방된 보수 신앙을 택했다고 하시며 쉼 없이 하나님 나라 확장을 위해 성경말씀을 가르치고 복음을 전하는 삶을 사셨다.

 

기독교는 교회 중심의 교회주의를 극복하고 생명의 진리를 제공해 주는 교회로 되돌아가야 한다. 교리의 계란을 깨뜨리고 진리의 병아리가 태어나야 한다. 160p

나는 과연 진리를 추구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하게 되는 문장이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방송을 통해 이름과 얼굴이 알려지면 그 지명도가 인기와 영합되고 인기가 내 인품과 인격까지도 높여 준 듯이 착각한다. 그래서 지적이며 정신적인 성장과 창의성을 상실하는 경우가 흔하다. 사람들은 인기와 존경심을 구별하지 못한다. 인기는 연예인들에게 필요하다. 대중 앞에서는 정치인들도 인기의 노예가 되곤 한다. 그러나 지성인들과 정신적 지도자는 다수의 인기보다도 적은 수의 존경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123p

예전에는 대학을 나오면 지성인이라고 했다. 요즈음도 그렇게 표현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대학원까지 나왔으니 지성인의 주변인쯤은 되지 않을까 싶다. 그런 내가 누군가의 존경을 받을 수 있는가 생각해보게 된다. 누군가의 존경을 받을 만큼 선한 영향력을 끼치며 사는 삶이야말로 선하고 아름다운 삶이 아닐까 싶다.

김형석 교수님의 책은 언제나 나를 돌아보고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 포인트 통합교육 - 가정과 함께 하는교회 다음 세대가 자라나는 교회
주경훈 지음 / 두란노 / 201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원 포인트 통합 교육은 6하 원칙에 의해 Why, Who, Where, When, How, What에 대하여 이야기 한다.


왜 교육 하는가

누가 교육을 할 것인가
어디서 교육 할 것인가
언제 교육 할 것인가
어떻게 교육 할 것인가
무엇을 교육 할 것인가

가르치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고민하는 부분이다. 오륜교회는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교회 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교육을 단순화하고 통합하는 기준을 정하였다. 그리고 가정과 교회가 연합하여 다음 세대들이 하나님과의 스토리를 만들어 가도록 돕는 대안적 크리스천교육 기관이라는 사명선언을 하고 교육 활동을 계획하였다.


교육은 일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3박자가 맞아야 하는데 교회교육과 가정교육, 그리고 아이가 함께 의지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교회에서 길을 안내한다면 가정에서는 안내하는 길을 따라 갈 수 있도록 삶으로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 오륜교회에서는 가정에서 삶으로 가르치는 교육을 침상머리 교육, 밥상머리 교육, 길머리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아이와 가장 진솔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을 활용하여 단순하지만 의도적으로 가르쳐 주도적으로 성장하도록 교육하고 있다.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 부모 역시 태어난다.(103쪽)

성경은 부모들이 가르쳐야 할 내용보다도 부모로서의 됨됨이를 먼저 언급한다. 부모가 먼저 말씀을 들어야 한다. 부ㅗ가 먼저 하나님을 전인격적으로 사랑해야 한다. 부모가 먼저 말슴을 마음에 새겨야 한다. 그때 교육이 영향력을 지니게 된다.(92쪽)

 

마음에 깊이 새겨지는 구절들이다.


그룹홈을 시작하면서 내가 키우는 아이들을 예수님의 제자로 살아가도록 가르쳐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사회복지시설의 특성상 종교를 강요 할 수 없게 되어있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것인가 고민하게 되었다.

하나님의 말씀을 삶으로 가르치고 행하도록 하는 것은 부모의 몫이자 생각하는 나에게 원포인트 통합교육은 공감하는 부분이 많고 할수만 있다면 우리 교회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교회학교 교육이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지금은 교회학교에서 어떤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몰라 집에서는 집에서 대로 밤마다

성경 한 장을 읽고 무엇을 말하는지 설명해주고 예수 믿는 사람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 나누기를 한다. 그 가운데서 한 구절이라도 가슴에 남아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하나님의 사람으로 살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모든 교회가 사명선언을 하고 교회와 가정이 연합하여 다음 세대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서 한국 교회가 세대계승을 잘 이루어갔으면 좋겠다.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 부모 역시 태어난다.(10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