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 (반양장) 보름달문고 44
김려령 지음, 장경혜 그림 / 문학동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마음에 놓인 건널목 <그 사람을 본 적이 있나요?>

작가의 이름만 보고 책장을 펼쳤다. 그것은 종전에 내가 그녀의 책을 너무나도 재미있게 읽었고, 주위 사람들에게 수도 없이 많은 추천을 했으며, 이번에 국어교과서에 실렸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박수를 짝짝 쳤을 만큼, 작가에 대한 떨리는 기억이 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남의 시선을 아랑곳 하지 않고 키득거리며 읽던 이야기가, 시간이 지날수록 눈물이 꾸역꾸역 넘어오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결국에는 한껏 감동을 받은 채로 책의 첫 장으로 다시 넘어가 두 번, 세 번 되풀이 하여 읽는 것이다. '동화'가 내 아픔을 달래 주고 상처들을 어루만져 주리라곤 상상도 못했는데, 그녀의 이야기 속의 그것은 몇 번을 되풀이 하여 읽어도 변함없이 그 자리에서 나를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동화작가 오명랑.
그녀는 '밥벌이를 못한다'는 가족들의 성화에 못 이겨, 『이야기 듣기 교실』을 열게 된다. 자신의 첫 제자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가장먼저 들려줄까 고민하던 그녀는 상대방의 마음을 열기 위한 이야기를 하기로 결정하고, 세 명의 어린 제자들에게 동화와도 같은 가슴 따뜻한 이야기를 들려주기 시작한다. 작가 오명랑의 추억이 담긴 이야기, 허나 아픈 과거를 들춰내는 이야기, 그리고 언젠가는 풀어내야겠다고 다짐만 해 왔던 이야기... 

아이들이 안전하게 건널목을 건널 수 있도록 천으로 만든 건널목 카펫을 들고 다니며 손수 등하굣길을 지도하는‘건널목 아저씨’가 있었다. 자신에게도 크나큰 상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온정을 베풀며 살아가는 사람, 자신의 아픔을 또 다른 누군가가 겪지 않도록 하기위해서 카펫으로 된 건널목을 들고 다니는 사람, 그리고 지금도 어디선가 누군가에게 희망이 되어줄 사람... 건널목씨의 에너지는 실로 대단한 것이었다. 그는 아파트 단지의 교통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솔선수범하여 나서서 온갖 궂은일을 맡는다. 그리고 형편이 어려운 태석이와 태희를 챙겨주고, 부부싸움 때문에 계단에 숨어 있는 도희를 챙겨주며, 후에는 그들의 인연을 이어주기까지 한다. 외롭고 쓸쓸한 태석이와 태희 남매에게 도희의 등장은 엄마처럼 든든한 백 같은 거였다. 게다가 부모님의 잦은 싸움으로 둘을 보살피던 도희에게도 또 다른 가족을 만들어 준 것이다. 그렇게 아이들을 보살펴 준 건널목씨가 있었기에 태희와 태석이, 그리고 도희가 힘차게 살아 올 수 있었던 것은 아닐런지....그는 아마도 어린 아이들에게 등불 같은 존재였을 것이다...
 

어린 시절의 상처가 깨끗하게 치유되기까지는 성인이 되고나서도 너무도 오랜 시간을 요구한다. 설령 지금 행복하게 살고 있다 한들, 그 기억까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니까 말이다. 나 또한 내 어릴 적의 아픔을 꺼내어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내 자신을 위로하고, '그래 그땐 어쩔 수 없었잖니, 애썼다' 라며 내 마음을 토닥이기까지 아주 많은 시간이 걸렸던 기억이 있다. '동화작가 오명랑'이자 '태희'는 자신의 잊고 싶은 어린 시절을 이야기로 풀어내었다. 옆에서 그녀를 지켜보는 어머니와, 그녀를 지지하는 새언니에게도 아픔이었을 과거를, 제자들에게 이야기로 들려줌으로써 서로의 상처를 보듬어 주었던 것이다. 세월이 흘러도 잊을 수 없는 가슴 따뜻한 '건널목 아저씨', 그가 어린 아이들에게 남겨준 것이 단순한 동정이라고는 말 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그의 인간적이고 뜨거운 마법과도 같았다. 혹시라도 지금쯤, 어디선가 힘들어하고 있을 아이들에게 건널목아저씨의 따뜻한 위로가 닿기를 바란다. 또한 어디선가 호루라기를 불고 건널목을 펼치고 있을 아저씨에게도 '태희와 태석이와 도희'의 그리움이 전해지기를...
 

나는 얼마만큼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고 감싸 안으며 살아 왔는지 되돌아보니, 그저 내 안의 상처만이 세상에서 제일 큰 마냥 호들갑스럽게 살고 있었던 것 같아 부끄러워졌다. 그리하여 누군가에게 그리워할만한 어른이 되리라 다짐하며, 다시 책을 펼치고, 그녀의 네 번째 제자가 되어, 가만가만 귀 기울여 이야기를 들었다. 천천히 책 속으로 걸어 들어가 나의 어린 시절과, 상처받은 그들의 어린 시절을 꼬옥 끌어안아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