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기억해야 하는 바는 이것이다. 마음이 나침반, 즉에로스의 자동 유도장치와 같다면, 우리 마음이 우리의 자이신 창조주를 가리킬 수 있도록 그것을 정기적으로) 재조정해야 한다. 우리의 궁극적 사랑과 갈망, 욕망, 열망이 습득되는 것임을 인식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사랑이 습관이라면, 본보기를 모방하고 오랜 시간에 걸쳐 우리 마음을 특정한 목적을 지향하게 만드는 실천에 몰입함으로써 마음의 눈금을 재조정할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일차적으로 무엇을 사랑해야 하는지에관한 정보를 습득함으로써가 아니라 어떻게 사랑하는지에 관한습관을 형성하는 실천을 통해서 사랑하는 법을 배운다. 이런 종류의 실천이 욕망의 "교수법"이다. 우리에게 정보를 전달하는강의와 비슷하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의 정서를 형성하고 안내하는 의례이기 때문이다. - P41

"그리스도의 평강이 너희 마음을 주장하게 하라. 너희는 평강을 위하여 한 몸으로 부르심을 받았나니 너희는 또한감사하는 자가 되라. 그리스도의 말씀이 너희 속에 풍성히 거하여 모든 지혜로 피차 가르치며 권면하고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를 부르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찬양하고. "골3:15-16바울이 묘사하는 내용은 우리가 부르심을 받은 "몸"인교회의 예배와 비슷하게 들린다. 이제 우리는 상관관계를 이해할수 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말씀이 우리 안에 풍성히 거하게함으로써, 서로 가르치고 권면함으로써,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를 부름으로써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옷 입고 12-14절 사랑이라는 덕을 "입는다." 기독교 예배라는 실천이 우리의 사랑을 훈련한다. 예배는 오실 왕국을 위한 실천이며, 우리를 하나님나라의시민으로 길러낸다.
기도교 - P48

실천이 습관을낳았고, 이제 그 습관은 내가 그 실천과 그 실천이 약속하는 바(건강, 활력, 단잠, 정서적 안정)를 원하게 만들었다. 새로운 갈망을갖게 되었다. 내가 5킬로미터 달리기를 원하고 출장 중에도 시간을 쪼개서 러닝머신에서 운동을 하게 되리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 P103

이것은 ‘카르디아‘에 가 닿는 배움, 학생들이 세상에 관해생각하는 능력을 길러 주는 동시에 세상을 사랑하도록 부르심을 받는 이들이 갖춰야 할 습관을 형성하는 배움이다.
습관의 영적 힘에 초점을 맞추는 가르침과 배움에서는 작은 것이 축적되었을 때 나타나는 힘, 사소한 실천이 지닌 형성적 힘을 인식한다. 공동체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반복된 작은행동은 형성적 효과를 발휘한다(왜 미국 공립학교가 매일 그들 나름의 신조, 즉 국기에 대한 맹세로 하루를 시작한다고 생각하는가?).
위니 더 푸가 말했듯이, "때로는 가장 작은 것들이 네 마음에서가장 큰 자리를 차지한다." - P247

내 말을 정교하게 해 주시고
내 입술에하나님의 복을 부어 주소서.

나에게명민한 마음과 기억하는 능력과
배움의 기술과
해석하는 날카로움과말의 유창함을 주소서.


주께서내일의 시작을 인도하시고,
그 진보를 이끌어 주시고,
완성해 주시기를 원하나이다.


- 공부하기 전에 드리는 기도. 중
토마스 아퀴나스 - P2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