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단지 ‘우주를 지휘하고 있는 무언가가 존재하며, 그 무언가는 내 안에서 옳은 일을 하도록 재촉하고 그릇된 일에는 책임감과 불편함을 느끼게 만드는 하나의 법칙으로 나타난다‘ 는 데까지만 말했을 뿐입니다. 우리는 그 무언가가 다른 무엇보다 정신을 닮았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P58

사리를 분별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떤 욕망은 허용하고 어떤 욕망은 거부해야 하는지에 관한 일련의 원칙들을 갖고있게 마련입니다. 어떤 이들은 기독교적 원칙에 따라, 어떤 이들은 위생학적 원칙에 따라, 또 어떤 이들은 사회학적 원칙에 따라이렇게 합니다. 즉 진정한 갈등은 기독교냐 ‘본성‘이냐에 있는것이 아니라, ‘본성‘을 제어하는 일에서 기독교적 원칙을 따르느냐 다른 원칙을 따르느냐에 있습니다. 인생을 망치기로 작정한사람이 아니라면 어떤 식으로든 ‘본성‘(자연스러운 욕구라는 뜻에서
‘본성‘)을 제어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 P163

그냥 그를 사랑한다 치고 행동하십시오. 그러면 곧 위대한 비밀하나를 발견할 것입니다. 어떤 사람을 사랑한다 치고 행동하면,
얼마 지나지 않아 진짜로 그를 사랑하게 된다는 비밀 말입니다.
어떤 사람이 싫다고 해서 상처를 주면, 점점 더 그가 싫어집니다. …………….그가 단지 하나님이 지으신 자아이기 때문에(우리처럼) 나의 행복을 바라듯 그의 행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잘해 준다면, 그때마다 우리는 조금씩 더 그를 사랑하게 될 것이며, 아니면 적어도 덜 싫어하게 될 것입니다. - P207

자연 상태의 그대로의 ‘나‘는 내가 믿고 싶어하는 만큼 주체적인 개인이 못 됩니다. ’나한테서’ 우러나왔다고 내세우는 일들은 대부분 아주 쉬운 설명이 가능한 것들입니다. 우리가 처음으로 나만의 진정한 인격을 갖기 시작하는 때는바로 그리스도를 향해 돌아서는 때, 돌아서서 그의 인격에 나 자신을 바칠 때입니다. - P339

이런 의미에서 우리의 진정한 자아는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기다리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 없이 ‘나 자신‘이 되려고 아무리 노력해 봐야 소용이 없습니다. 그를 거부하고 혼자힘으로 살려고 하면 할수록, 유전과 성장배경과 환경과 자연적인욕망의 지배만 더 받게 될 뿐입니다. 내가 그토록 의기양양하게내세우는 ‘나 자신‘은, 내가 시작하지도 않았고 막을 수도 없는일련의 사건들이 집합하는 장소 이상이 되지 못합니다. - P3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