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자는 어릴때 부모님을 사고로 잃고 부모님의 공백을 메우려는 태도를 갖고 있다. 어릴때는 친구들의 부모님과 친구들보다 더 친하게 지내고, 결혼후엔 아내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 장인,장모와 많은 시간을 보낸다.
2차세계대전이후 막 결혼을 한 장인, 장모의 인생 이야기를 통해서 각 개인들이 전쟁이후 어떠한 모습들로 살아갔는지를 보여준다. 장인,Bernard는 공산당원이다가 노동당에서 일하는 사람으로 물질, 만져지는 것으로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고, 장모, June은 명상, 신등의 내면, 개인 정신의 변화로 인류가 나아질수 있다고 생각했던 정반대의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다른 한편으로는 열렬히 사랑했다는걸 알게된다.
June이 살았던 프랑스 시골 집에서 할머니의 옛날 예기를 손주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은 기분이다.
이전에는 고아나 부모를 일찍 여읜 사람들의 마음을 헤아려보지 못했는데, 집착하듯 장인, 장모의 이야기를 들으려는 화자의 모습을 보며 부모의 공백이 역사의 공백이 되고 내 존재의 역사적 흐름에서 단절이 된다는 걸 처음 깨달았다. 단순한 양육과 보호의 부재만이 아니라 내 윗세대의 구체적 역사를 전달받지 못하는 또다른 고립이 있다는 것, 내가 상상하지 못하는 상실감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They could range freely because they were secure;I needed the hearths they had deserted.
I discovered that the emotional void, the feeling of belonging nowhere and to no one that had afflicted me between the ages of eight and 37, had had an important intellectual consequence: I had no attachments, I believed in nothing. It was not that I was a doubter, or that I had armed myself with the useful skepticism of a rational curiosity, or that I saw all arguments from all sides; There was simply no good cause, no enduring principle, no fundamental idea with which I could identify, no transcendent entity whose existence I could truthfully, passionately, or quietly asser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