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인생의 이야기 행복한책읽기 작가선집 1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읽은지 꽤 되었지만, 블로그에 쓴 게 있다는 걸 기억하고 옮깁니다. (연결해도 되지만 그건 싫어요 왠지..)

대충 소개하자면,

10년 동안 8편의 SF 중단편 소설만 내놓고 '현역 최고의 SF 단편 작가'라는 평가를 받는다는 사람이고요. 이 단편집에 8개가 다 들어 있더군요.
 일단 기본적인 평가를 하자면 '평가받을 정도'군요. (건방진 말투 (...))

 제가 좀 속이 좁은지라 이런 호평받는 작품에 대해서 매기는 페널티까지 계산해보면 상당히 좋은 작품..일까요. 물론 SF에 관심 없는 일반인에게 추천하긴 좀 그런 내용들이지만요.

 바빌론의 탑: 좋은 의미로도 나쁜 의미로도 첫 작품이라는 느낌이 드는 글. 뒤틀린 세계관이나 전개 방식이 굉장히 흥미로운데, 엔딩은 좀.. '복선 하나가 부족해!' 느낌이랄까 (...)

 이해: 넷상의 평가를 보면 이상할 정도로 극찬받고 있는 작품. 초 지능, 특히 초월적인 지각력이란 소재는 꽤 흔한 편이지만 그 진행 과정에 있어서의 묘사나 풍부한 식견은 확실히 뛰어납니다. 다만, 마지막인 동류와의 대결(정말 이쪽 류 흐름은 거의 이렇다!)인 데다가 이쪽의 죽음이나 그 비슷한 엔딩인지.. (사실 이유는 압니다만, 그래도 푸념) 물론 저 마지막의 장면 자체(특히 그 '공격'은)가 작품 전체의 흐름을 뒤바꿀 수 있다는 건 느꼈지만, 그러기엔 그에 대한 이야기가 부족하지 않았나 싶군요. 뒤의 작가 후기 보면 이 글이 먼저 쓰여져서 여기 저기서 거절당했다가 개작하고 나서야 출간했다는데.. 어찌 보면 이게 포인트겠군요.

영으로 나누면: 소재 자체가 비교적 잘 알려져 있기도 한데다가, 주인공의 감정 흐름을 잘 못 따라잡은 건지 좀 별로였던 작품입니다. SF라기보단 신학소설 (작품 속 말을 인용하자면 "신을 부정해 버린 신학자"의 이야기 느낌) 느낌으로 읽어야 될지도요. (그래도 분류하자면 SF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평가를 할 수 밖에 없다는 게 어쩌면 이 작가의 부러운 점장점일지도요. 여담이지만 후기는 참 (...)

당신 인생의 이야기: 다른 리뷰에서도 다 나온 거 같지만, 이 작품이 단편집 표제가 된 데는 다 그럴 만하기 때문인 겁니다. 흔히들 칭찬하는 그 구조 자체에는 큰 감흥을 못 받았지만, (좀 어색하게 느낀 곳도 있었기 때문에) 정말 이 정도로 SF 소재와 방식, 그리고 사고 방식을 결합시킨 작품은 드물 겁니다.

일흔두 글자: 어떻게 보면, 앞을 제외하곤 가장 다른 작품들과 이질적인 작품입니다. 마법 과학이라는 설정은 저 자신이 SF보다는 판타지에 관심이 많기 때문에 종종 접하며, 명명학 자체도 낯선 건 아니고, 거기다가 이야기 흐름도 그런 식의 소설들과 유사한 데가 있습니다만. 그 필력이 죽은 건 아닙니다...라고 후기를 읽기 전까지는 생각했지만, 후기를 읽고 나서야 이 작품의 의도를 알겠더군요. (그런 면에선 감점 (...))

인류 과학의 진화: 과학 잡지 '네이쳐'에 '다음 천년기에 일어나게 될 과학의 발전을 다룬 소설풍의 글'을 개재하기 위해 실었다는 바로 그 자체가 이 소설의 포인트. 처음 읽었을 때는 다른 내용의 일부인 줄 알았습니다. (...) 내용 자체는 지극히 공감 가지만, 역시 평가를 하긴 어렵네요. (주제에 대해 다루자면 하겠지만, 지금은 그러려는게 아니니까요.)

지옥은 신의 부재: 이 단편집에서 베스트를 꼽으면 네 인생의 이야기와 이게 1,2위를 경합할 테고 제 인상에만 따르면 이 작품이 1위가 될 겁니다. (3위는 이거 다음거일거에요. 혹은 '이해'거나) 설정 자체와 그에 대한 묘사, 그리고 이야기 전개 모두 굉장히 재밌었는데다가, 끝까지 다 읽고도 (심지어 후기까지 읽어도) 이게 '종교에 대한 블랙 코미디'인지 '진정한 신앙에 대한 성찰과 통찰'인지 알 수 없다는 게 정말 대단해 보였습니다.

외모 지상주의에 관한 소고: 다큐멘터리: 이것 역시 윗 작품과 비슷(두 개의 주제 대립이 치열하다는 점에서)하지만 어느 정도는 한쪽이 우세하다는 점에서 위의 것에 밀릴지도요. 제목 그대로 다큐멘터리 형식이라 각 인물들의 인터뷰 내용만이 나와 있다는 점이나 소재나 모두 보통을 넘습니다. [미인에 대한 인식을 비웃는 작품이야 많지만, 미맹증 유발을 위한 장비가 있고 그걸 의무화하냐 안 하느냐같은 소재였는 데다가, 찬반론 모두 어지간한 논리는 극한까지 밀어붙인 다는 점도 플러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