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을 위한 교과서 명작 읽기 - 세계 명작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는 국어 탐구활동 교과서 교과서 잡는 바이킹 시리즈
최지희 지음, 윤상은 그림 / 바이킹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가 변해도 지금까지도 사랑받고 이어지고 있는 세계명작동화들

아이들이 꼭 읽어야 할 세계명작동화.

글밥있는 도서들로 업그레이드해서 읽게해주고픈데

아이들이 영 흥미를 안가지더라구요.

초등학생을 위한 교과서 명작읽기로나마 

세계명작을 쉽고 재밌게 만나게 해주고 싶네요.





1장,2장,3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초등학생을 위한 교과서 명적 읽기에는 

교과서 속 초등학생이 꼭 읽어야 할 세계명작동화

큰 울림을 주는 오래세월 사랑받은 세계최고의 

세계명작 동화 30편이 수록되어 있어요. 

오즈의마법사, 플란더스의개,장화신은고양이,걸리버여행기 등

익숙한 이미 알고있는 세계명작동화도 있고, 생소한 제목들도 눈에 띄네요.


초등학생을 위한 교과서 명작 읽기 책은 교과연계도서로

2학년부터 6학년 교과서 어디에 실려있는지도

 수록되어 있어 도움이 될  듯 해요.






한장은 이야기 한장은 문제로 구성되어 있어요.

이야기 왼쪽에는 작가소개가 되어 있어요.

이 작품을 쓴 작가에 대한 설명을 읽고

작가의 작품세계를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고,

작품을 읽기전에 읽으면 도움이 되겠죠!



작가소개 아래에는 작품의 배경이 되는 각 나라의 역사,문화에 관한 정보를 담아

배경지식도 넓혀 작품속 등장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더 잘 이해할 수가 있어요.

 

그림과 함께 중심이야기가 간략하게 

이야기가 짧아서 읽는 부담을 일단 덜어주네요.

재미와 감동 지혜가 담긴 세계명작이야기를 읽다보면

공감하게되기도 하고, 깨달음을 얻기도 하게 될거에요.


가끔 아이들이 책을 읽고나서

그 내용을 잘 이해한걸까? 궁금할때가 있는데요.

이야기를 읽고 그치는게 아닌 세계명작을 읽은후에 내용을 확인해 보는 독해 문제와

 어휘 문제를 풀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요.

 작품 내용 간추리기,작품주제정리하기,일이 일어난 순서맞추기, 알맞은 낱말 넣어 문장완성하기 등

문제를 풀어보는 걸 통해서 어휘력과 독해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어요.




따로 이렇게 이야기 속에 중요하거나 어려운 낱말들은

핵심어휘풀이에 쉽게 풀어 설명되어 있어서

글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덜 하겠네요.




가끔 아이들이 책을 읽고나서 그 내용을 잘 이해한걸까? 궁금할때가 있는데요.

이야기를 읽고 그치는게 아닌 세계명작을 읽은후에 내용을 확인해 보는 독해 문제와

 어휘 문제를 풀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요.

 작품 내용 간추리기,작품주제정리하기,일이 일어난 순서맞추기, 알맞은 낱말 넣어 문장완성하기 등

문제를 풀어보는 걸 통해서 어휘력과 독해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어요.




각 장이 끝날때마다  편지쓰기/더 생각해보기로 구성되어 

아이들의 생각을 글로 표현해볼 수 있는 시간도 가질수 있어요.



책읽고나서 독후활동을 해주는게 좋다고 하는데

요즘은 그냥 읽기만 하고 끝나는경우가 많은데요.

이렇게 구성되어 있으니 좋네요.

세계 명작동화 작품 중 가장 감명깊게 읽은

이야기 속에서 만난 인물에게 편지를 써보는 시간

색다르고 의미있네요.

인상깊었던 기억에 남는 장면을 떠올리면서

응원의 메세지나 위로의 말을 전해보는것도 좋을듯해요.



내가 주인공이었다면?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했을지?

내가 주인공이 되어 좀 더 새로운 관점으로

 생각해보는 시간도 가질수 있어

상상력,창의력도 키우고, 내 생각을 얘기하며 

논리적사고도 함께 자랄수 있겠어요.





차례대로 안하고 저는 아이가 관심있어하는 흥미로워하는

 세계명작동화부터 볼 수 있도록 했어요.

그랬더니 제일 먼저 펼쳐본 이야기는 장화신은 고양이!

아이랑 이야기를 읽어보고 문제까지 풀며

독해력과 어휘력까지 향상시킬수 있는

초등학생을위한교과서명작읽기 추천합니다.











ㅡ위의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입니다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