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뇌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지극히 주관적인, 그래서 객관적인 생각의 탄생
이상완 지음 / 솔출판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줄평]

인공지능과 뇌는 서로 다르기에 더욱 의미 있는 관계가 되고 있다.

 

[이런 분께 권함]

인공지능과 뇌에 관심 있는 분, 뇌과학과 뇌공학을 알고 싶은 분, ...........

 

[느낀점]

인공지능과 뇌의 관계를 소개하는 책을 몇 권 읽어보기는 했지만, 여전히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일단 인공지능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뇌과학과 뇌공학의 용어들이 낯설어 그 핵심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있는 힘을 다해 용어의 개념을 따라간다고 한들 인공지능의 원리를 뇌와 비교해서 설명하는 논리적 흐름 자체를 이해하기가 힘들다. 인공지능과 뇌의 관계를 간단하게 설명한다고 하는데도 굉장히 복잡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계속해서 인공지능과 뇌를 연구하는 책을 읽는 이유는 저자의 말처럼 인공지능 연구를 통해 인간지능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싶기 때문이다. 자신이 모르는 분야를 알아가고자 하는 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존 본능이다. 아는 것이 많아질수록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안전하게 보호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각설하고 이 책은 기존의 인공지능 책과는 조금 다른 면이 있다. 기존의 책들이 인공지능과 뇌의 유사점을 강조했다면, 이 책은 인공지능과 뇌의 차이점에 집중한다. 그러면서 인공지능과 뇌가 가진 서로의 강점을 통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이야기한다. 인공지능과 뇌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인간 이해의 수준을 높이고 문제해결의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인공지능이 뇌를 얼마나 따라잡았고, 얼마나 앞서가고 있는지를 이야기하기보다 인공지능과 뇌 연구를 통해 우리가 맞이하게 될 미래의 세상을 어떻게 만들어갈지를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많은 이가 걱정하는 것처럼 인공지능은 인간 존재를 위협하는 기술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어가고 인간이 가진 무한한 가능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은 인간을 대체하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인간과 함께 공생하는 파트너라는 것이다.

 

어차피 인공지능은 인간의 뇌를 기반으로 연구되는 분야이다. 이 말은 인간 스스로가 자신의 지능과 뇌를 제대로 이해해야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우리가 뇌의 무한한 가능성과 신비로운 원리에 대해서 아는 게 많지 않다. 바꿔 말하면, 인간의 뇌를 완벽하게 닮은 인공지능을 만드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그렇기에 저자의 말처럼 인공지능의 목표는 인간을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인간의 지능을 객관적으로 보게 만들어 주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이 책은 단순히 인공지능과 뇌의 관계를 넘어 인간 존재 자체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는데 큰 깨달음을 주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내 이해수준을 넘어서는 내용의 난해함으로 인해 명확하게 정리하지는 못했지만, 책을 읽으며 우리의 미래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인공지능과 뇌에 관심이 있다면 꼭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 이 리뷰는 출판사가 제공한 책을 읽고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