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생각하는 인생 디자인 - 나를 찾아가는 마법의 종이 한 장
김현곤 지음 / 행복에너지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를 찾아가는 마법의 종이 한 장!

 

백 마디 말보다 한 장의 그림으로

21세기형 미래 준비 전략을 제시한 비주얼 가이드

AI와 고령화 시대의 인생계획에 길잡이가 되어 줄 소중한 그림들

책 표지에 적힌 문구들이 아무래도 글보다는 그림이 많을 것 같은 책

 

 




 

 

 

목차

1부. 인생과 일(인생, 일)

2부. 자기 찾기와 자기변화(자기 찾기, 자기변화)

3부. 미래 전망과 미래전략(패러다임 변화, 미래 전망, 미래전략)



 

●, ■. ▲, →로 이루어진 그림

여러 말보다 때론 몇 개의 그림으로 머릿속에 있는 생각이 정리된다.

많은 이야기를 글로 나열하는 것보다 기본적인 것들을 이미지화하는 방법

왼쪽은 그림, 오른쪽은 짧은 글이 쓰여있다.

 

초, 분, 시, 하루가 되고, 주, 월, 년이 모여 인생이 된다.

인생은 하루하루의 합을 말한다.

뻔한 이야기이다. 가끔 폰을 하다 보면 시간이 훌쩍 지나갈 때가 있다.

하루의 몇 분 또는 몇 시간을 낭비했네, 이러고 넘어간다.

인생의 일부분이어도 인생을 낭비했던 것이다. 순간 아차 했던 부분이다.

 

 

 

 

표현의 역사

그림 – 문자 – 영상 – AI ?

코로나 여파로 시대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지금 2020년이지만, 미래를 예측했던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5~10년은 더 빨리 찾아왔다고 이야기한다.

 

 

 

팩트 텔링과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이 유행하고 있다.(이미 몇 년 전부터 유행)

팩트 텔링 + 호기심, 상상력, 감성, 공감, 그 외 요소들을 필요로 한다.

 

 

미래를 만드는 3가지 방정식이다.

가능성의 집합, 습관의 집합, 미래는 가능성과 습관, 기회와 준비의 만남이다.

 

 


 
 
 


 


 

 

 

AI 혁명은 지능형 로봇을 고령화 혁명은 50 +를 새로운 사회적 자원으로 만들고 있다.

AI 시대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감이 오지 않는다.

영화에서 보던 이야기가 실제로 일어날지

코로나 역시 영화에서만 보던 전염병이었는데 지금은 생활이 되어가고 있으니 말이다.

 

 



 
 


 

 

뻔한 이야기라고 느껴질 수 있을만한 소재들도 있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그림들이 많이 있다.

편하게 보려고 선택한 책이다. 미래를 구체적으로 그림을 그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코로나로 세상이 많이 변해가고 있고,

그에 맞혀 대응을 해야 하는데, 난 뭘 하고 있는 건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