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없는 지식의 쓸모 - 세상을 바꾼 과학자들의 순수학문 예찬
에이브러햄 플렉스너.로버르트 데이크흐라프 지음, 김아림 옮김 / 책세상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책 겉표지가 블랙에 화이트톤

깔끔한 디자인이 였다.

자연과학에 관련된 책,

공대를 나왔다고 이야기 하지만,

자연과학에 1도 관심이 없어서 처음에는 뭔가 싶었다.

 

 

 

구성은

내일의 세계 - 로버르트테이크흐라프

쓸모없는 지식의 쓸모 - 에이브러햄 플렉스너

2파트다.

 

 

 

 

 

 

 

 

 

 

 

 

 

고등연구소 소장인 로버르트데이크흐라프

아이슈타인, 괴텔 등이 이곳에서 연구했다고 한다.

기초과학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서 언급한다.

플렉스너의 연구는 돈을 바라고 하는것이 아니라, 연구에 몰입한다.

 

책에서 만난 교수님들은 전문적이고 정말 학문을 전달하고 싶어하는 의지가 강한사람들이였다. 프린스턴 고등연구소라는 곳에서 같이 일하고 진정한 고민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게 참 매력적인 곳으로 느껴졌다.

 

 

 

 

 

 

 

모든 발견은 길고 위태로운 역사를 갖는다.

누구나 여기서 한 조각을,

저기서 또 한 조각을 찾아낸다.

한 천재가 그 조각들을 꿰맞춰 결정적인 기여를 하는 나중에야 마지막 단계가 비로소 완수된다.

과학은 미시시피강과 마찬기졸 먼 수프이 작은 개울에서 시작된다.

그러다 다른 시냇물이 합쳐져서 물이 점점 불어난다.

독을 터뜨릴 만큼 요란하게

흐르는 강은 수많은 원천이 합쳐져 형성된다.”

 

 

 

 

 

 

 

 

 

아인슈타인은 상상력이 지식보다 중요하다.

지식은 우리가 지금 알고 이해하는 모든 것에 한정되어 있지만,

상상력은 온 세상을 포용하며 그 모든 것은 우리가 앞으로 알고 이해하는 무언가가 될 것이다.

 

상상력은 지식보다 중요하다라는 문구에서 생각이 멈쳤다.

상상력이 그만큼 온 세상을 포용하고, 앞으로 일어나는 일들을 그림 그려 볼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상상력의 힘이 느껴졌다.

상상력보다는 지식을 더 배우려고 애썼다.

 

 

 

 

 

 

 

지식이 많아야 더 많은걸 느끼고 볼수 있을 것 같았다. 기존에 갖고있던 틀이 깨졌다. 상상력이 지식보다 중요하다는 아이슈타인의 말을 삶에 녹여봐야겠다.

 

한참을 생각하게 만들었던 문구가 있다.

세계의 영적인 의의를 부여하는 쓸모없는 것들의 일부가 사라진다면

우리가 완전한 삶을 살 충분한 기회를 가질 수 있을까?(p.61)

 

쓸모없는 지식의 쓸모100페이지로 얇은 책이면서 지적 수준을 향상 시켜줬다.

자연과학에 지식이 조금 생겼다.

 

효율적이고 뭔가 대가를 바라는 연구보다,

고등연구소에서 말하는 연구에만 몰입하는 연구,

지금도 어디선가는 이런연구가 계속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